“유통분야 적합업종 선정 서둘러달라” 요청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사업(MRO) 분야 중소기업들이 대기업들 시장 진출을 막고자 동반성장위원회에 협조를 구하기로 했다.소상공인들로 구성된 MRO 비상대책위원회는 동반성장위 측에 “유통분야 중소기업 적합업종 심사에 조속히 착수해 MRO분야를 적합업종으로 선정해 달라”고 요청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비대위 측은 조만간 진정서 등의 형태로 이 같은 뜻을 동반성장위에 전달할 예정이다.
현재 동반성장위는 제조업을 대상으로 적합업종 선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 유통업 분야의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비대위 관계자는 “최근 아이마켓코리아, 엔투비, KeP등 3개 대기업과 사업조정 자율합의를 마쳤지만, MRO 시장에는 아직 15군데 대기업이 남아있다”며 “이 업체들에 대해서는 사업조정을 신청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사업조정 관련 규정에 따르면 중소기업은 대기업이 신규사업을 개시하거나 확장한 시점부터 90일 이내에 조정을 신청해야 한다.
비대위 안수헌 사무국장은 “조정신청 기간이 끝나버렸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적합업종으로 선정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동반위성장위는 MRO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해 적합업종 선정 절차를 서둘러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비대위는 15일 대한상의 앞에서 LG 계열 서브원을 비롯해 대기업들이 MRO 시장에서 철수할 것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 계획이다.
안 사무국장은 “최근 동반성장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널리 퍼져 있는데다, MRO 문제에 대한 각계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대기업들은 더 이상의 사업확장을 중단해 소상공인들의 영역을 보호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