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국내 첫 타워형 발전소 시간당 200㎾ 전기생산 가능
대성그룹이 미래 신재생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태양열 발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대성그룹 제공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이 29일 대구 서변동 대성에너지 타워형 태양열 발전소에서 열린 준공식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성그룹 제공
대성그룹 제공
대성그룹은 29일 대구 서변동에서 국내 최초로 타워형 태양열 발전소의 준공식을 가졌다. 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대성에너지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3년간의 공사 끝에 2만 300㎡ 부지에 50m 높이의 타워형 태양열 발전 설비를 완공했다.
발전소는 태양열 흡수 타워와 직경 2m의 반사판 450개, 200㎾급 발전 터빈, 관리동 등을 갖췄다. 태양열 흡수 타워 앞에 설치한 반사판을 통해 모은 열로 터빈을 돌려 시간당 200㎾ 정도의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소 건립에는 정부 출연금(71억 5000만원)과 민간부담금(45억원) 등을 포함해 모두 116억 5000만원이 투입됐다.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은 준공식에서 “우리나라가 타워형 태양열 발전 시스템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면서 “태양열 발전 기술을 태양 추적, 고효율 집광 등 고도의 기술과 접목해 국내뿐 아니라 몽골, 중동, 아프리카 등 해외 태양열 발전 플랜트 건설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태양열 기술이 국내의 우수한 통신, 정보기술(IT), 전자계측 기술 등과 접목되면 규모와 가격 면에서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면서 “해외 진출과 태양열 기술에 대한 추가 투자와 더불어 핵심기술을 가진 기업 인수도 타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양열 발전은 수백개의 반사경을 이용해 태양열을 한 곳으로 집열, 수백∼수천도의 고온을 얻고 이를 각종 발전 사이클의 열원으로 사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에 따르면 2025년까지 100조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대규모로 설치하면 경제성 측면에서 태양광 발전보다 앞선다고 회사 측은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06-3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