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요양병상 두 배, 분만병원은 10%↓

5년새 요양병상 두 배, 분만병원은 10%↓

입력 2012-02-13 00:00
수정 2012-02-13 08: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령화·저출산 반영..서울 산부인과 10곳 중 7곳 분만실 없어

전국 병원의 병상이 5년새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30% 가까이 늘었지만, 분만실을 갖추고 아이를 받는 산부인과는 오히려 10%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저출산 등 사회적 추세가 의료서비스 공급에도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 의료기관(보건소·한의원 등 포함)의 병상은 57만3천566개로 집계됐다. 이는 5년전인 2007년의 44만2천650개와 비교해 29.6% 늘어난 규모다.

지역별 증가율은 ▲광주 50.2% ▲부산 42.1% ▲전북 37.3% ▲충남 35.6% ▲ 경기 33.0% 등의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19.0% 늘어났다.

의료기관 종류별로는 고령화와 더불어 요양병원의 병상 수가 6만6천941개에서 13만4천843개로 두 배 이상 증가했고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병원의 병상은 각각 13.2%, 7.5%, 27.6% 늘어났다.

인구 1천명당 병상 수는 광주가 17.3개로 가장 많은 반면, 제주는 7.2개로 가장 적었다. 서울도 최하위권인 7.9개에 그쳤다.

이 같은 병상 증가 추세와는 달리 분만실을 보유한 산부인과는 5년 사이 1천15개에서 911개로 10.0% 줄었다.

전체 산부인과(2천47개) 가운데 분만 병원의 비율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44.5%에 그쳤다.

특히 광주지역의 경우 분만 산부인과 비율이 26.8%로 가장 낮았고, 서울이 34.1%로 그 다음이었다. 광주나 서울시내 산부인과 10곳 가운데 7곳은 분만실이 없다는 얘기다.

15~49세 여성 인구 10만명당 분만 산부인과 수는 대구가 4.9개로 가장 적고, 부산(5.5개), 경기(5.8개), 인천(6.1개), 서울(6.2개) 등도 하위권이었다. 가임 여성 인구 대비 분만 산부인과가 가장 많은 곳은 강원(11.9)이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상 수가 늘어나는 것은 의료서비스 접근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병상이 그다지 부족하다고 볼 수 없는 지역에서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계속 병상을 늘리는 것은 전체 국가 의료비 증가의 원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시도별 병상 현황 (2007~2011년)> (단위 : 개)

┌─────┬─────┬─────┬─────┬─────┬─────┐

│지역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

├─────┼─────┼─────┼─────┼─────┼─────┤

│총합계 │442,650 │472,297 │495,701 │528,288 │573,566 │

├─────┼─────┼─────┼─────┼─────┼─────┤

│서울 │68,038 │70,703 │71,803 │73,953 │80,992 │

├─────┼─────┼─────┼─────┼─────┼─────┤

│부산 │39,767 │42,293 │45,289 │50,722 │56,507 │

├─────┼─────┼─────┼─────┼─────┼─────┤

│인천 │20,931 │22,219 │23,970 │25,449 │27,159 │

├─────┼─────┼─────┼─────┼─────┼─────┤

│대구 │24,080 │25,630 │26,977 │28,727 │29,980 │

├─────┼─────┼─────┼─────┼─────┼─────┤

│광주 │16,770 │18,406 │19,371 │21,396 │25,193 │

├─────┼─────┼─────┼─────┼─────┼─────┤

│대전 │16,075 │16,810 │18,049 │19,359 │20,455 │

├─────┼─────┼─────┼─────┼─────┼─────┤

│울산 │9,985 │10,359 │10,742 │11,281 │12,046 │

├─────┼─────┼─────┼─────┼─────┼─────┤

│경기 │80,849 │86,582 │91,628 │98,310 │107,524 │

├─────┼─────┼─────┼─────┼─────┼─────┤

│강원 │15,786 │16,029 │16,234 │17,009 │18,230 │

├─────┼─────┼─────┼─────┼─────┼─────┤

│충북 │14,236 │15,062 │15,861 │16,583 │18,684 │

├─────┼─────┼─────┼─────┼─────┼─────┤

│충남 │17,685 │19,628 │20,830 │21,823 │23,989 │

├─────┼─────┼─────┼─────┼─────┼─────┤

│전북 │22,188 │23,819 │25,562 │27,908 │30,462 │

├─────┼─────┼─────┼─────┼─────┼─────┤

│전남 │24,574 │26,698 │28,601 │30,327 │32,150 │

├─────┼─────┼─────┼─────┼─────┼─────┤

│경북 │27,715 │29,820 │31,186 │33,302 │35,154 │

├─────┼─────┼─────┼─────┼─────┼─────┤

│경남 │40,536 │44,460 │45,647 │48,130 │50,906 │

├─────┼─────┼─────┼─────┼─────┼─────┤

│제주 │3,435 │3,779 │3,951 │4,009 │4,135 │

└─────┴─────┴─────┴─────┴─────┴─────┘

<분만실 보유 산부인과 수(2007~2011년)> (단위 : 개)

┌─────┬─────────────────────────────┐

│시도명 │ 분만실 보유 산부인과 수   │

├─────┼─────┬─────┬─────┬─────┬─────┤

│연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

├─────┼─────┼─────┼─────┼─────┼─────┤

│전국 │1,015 │991 │967 │944 │911 │

├─────┼─────┼─────┼─────┼─────┼─────┤

│서울 │205 │202 │197 │192 │181 │

├─────┼─────┼─────┼─────┼─────┼─────┤

│부산 │60 │59 │55 │52 │51 │

├─────┼─────┼─────┼─────┼─────┼─────┤

│인천 │55 │54 │50 │48 │47 │

├─────┼─────┼─────┼─────┼─────┼─────┤

│대구 │34 │32 │32 │32 │33 │

├─────┼─────┼─────┼─────┼─────┼─────┤

│광주 │37 │36 │36 │36 │32 │

├─────┼─────┼─────┼─────┼─────┼─────┤

│대전 │48 │45 │44 │44 │42 │

├─────┼─────┼─────┼─────┼─────┼─────┤

│울산 │24 │23 │23 │23 │22 │

├─────┼─────┼─────┼─────┼─────┼─────┤

│경기 │201 │201 │203 │196 │189 │

├─────┼─────┼─────┼─────┼─────┼─────┤

│강원 │46 │48 │45 │44 │43 │

├─────┼─────┼─────┼─────┼─────┼─────┤

│충북 │39 │41 │39 │39 │38 │

├─────┼─────┼─────┼─────┼─────┼─────┤

│충남 │47 │44 │43 │42 │42 │

├─────┼─────┼─────┼─────┼─────┼─────┤

│전북 │47 │44 │43 │41 │39 │

├─────┼─────┼─────┼─────┼─────┼─────┤

│전남 │45 │40 │40 │40 │36 │

├─────┼─────┼─────┼─────┼─────┼─────┤

│경북 │49 │47 │42 │43 │44 │

├─────┼─────┼─────┼─────┼─────┼─────┤

│경남 │65 │62 │63 │60 │60 │

├─────┼─────┼─────┼─────┼─────┼─────┤

│제주 │13 │13 │12 │12 │12 │

└─────┴─────┴─────┴─────┴─────┴─────┘

연합뉴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