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일·러 전문가 세미나 전망
남북통일이 미·중·일·러 등 한반도 주변에 가져다줄 편익에 대한 분석이 처음으로 나왔다. 17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남북통일이 주변 4강에 미치는 편익비용 분석’ 국제 세미나에서 마커스 놀랜드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부소장은 “(남한 주도) 흡수통일의 경우 통일 직후 북·미 간 상품 교역이 최소 9억 60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이고 통일 10년 후 상품 교역 증가 폭은 200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진징이(金京一) 중국 베이징대 교수도 이날 4대 시나리오를 내놓으며 “동북 3성은 대외 무역과 외국인 투자 부진으로 낙후 지역으로 전락했지만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이 현실화될 경우 급속한 경제성장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랴오닝·지린·헤이룽장성의 국내총생산(GDP)이 최소 1조 위안(약 1626억 달러) 이상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후카오 교지 일본 히토쓰바시대 교수는 남북통일로 일본의 라이벌이 될 ‘슈퍼 코리아’가 출현할 것이라고 경계를 드러냈다.
스베틀라나 수슬리나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한국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도 남북 평화통일이 이뤄지면 유라시아 철도와 천연가스 송유관 연결을 통해 연간 50억 달러의 이익이 창출되고 러시아 극동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09-1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