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리는 경기진단에 시장 혼란
경제는 하나인데 바라보는 눈은 다르다. 경제 정책을 책임지는 정부는 ‘봄 기운이 돌고 있다’고 하고, 정부 판단에 도움을 주는 국책연구기관은 ‘여전히 겨울잠을 자고 있다’고 한다. 헷갈리는 경기 지표만큼이나 진단도 엇갈린다.
민간 소비도 2월에 전년 동월 대비 5.5% 늘었지만 1~2월 평균은 지난해 월평균 증가율(1.7%)보다 낮은 1.1%에 그쳤다. 그간 성장을 떠받쳐 온 수출도 국제유가 하락과 세계경제 회복세 둔화 등으로 지난달 4.2%(전년 동월 대비) 줄었다. 2월(-3.3%)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반면 기획재정부는 “생산 등 주요 지표가 2월에 반등하며 경기 회복 흐름이 재개됐다”고 주장한다. 저유가, 저금리 등의 효과가 나타나면 실물 경제 회복세가 더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내놓고 있다.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확장적 거시경제정책 등으로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 거래가 활발해지고 생산, 소매판매 지표가 반등하는 등 미약하나마 회복 기미가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유병삼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재부와 KDI가 꼭 한목소리를 낼 필요는 없지만 경제 주체들은 헷갈릴 수밖에 없다”면서 “그만큼 우리 경제상황이 불확실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4-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