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의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ELS 발행액은 24조1천3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4.4%나 증가했다.
사상 최저인 1%대의 기준금리와 연초 이후 국내 증시의 완만한 상승 흐름 등이 맞물려 ELS가 투자 대안인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주목받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발행 형태별로는 공모발행이 14조6천291억원으로 전체 발행액의 60.7%를 차지했다. 사모발행은 9조4천748억원(39.3%)이었다.
예탁결제원은 “상대적으로 고수익을 노려 투자 위험을 감수하는 일반 투자자들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원금비보전형’ ELS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원금비보전형이 전체 발행액의 85.5%(20조6천158억원)를 차지했다. 발행액은 직전 분기보다 38.7% 증가한 규모다.
ELS의 기초자산으로는 개별 종목보다 지수가 압도적으로 더 많이 활용됐다.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전체 발행액의 99.1%인 23조8천943억원에 달했다. 개별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0.7%인 1천786억원을 차지했다.
증권사별로는 KDB대우증권이 3조6천736억원(15.2%)을 발행해 1위였다. KDB대우증권을 비롯한 상위 5개 증권사의 ELS 발행액은 전체 발행액의 56.5%(13조6천182억원)를 차지했다.
이 기간 ELS의 총 상환금액은 19조4천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3.5% 증가했다.
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14조311억원으로 전체 상환 금액의 72.3%를 차지했고, 만기상환과 중도상환이 각각 4조3천297억원(22.3%)과 1조474억원(5.4%)이었다.
예탁결제원은 “조기상환의 경우 코스피200,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유로스탁스50지수 등 주요 지수가 상승하면서 지수형 ELS 위주로 수익이 조기 달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ELS 발행액은 24조1천3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4.4%나 증가했다.
사상 최저인 1%대의 기준금리와 연초 이후 국내 증시의 완만한 상승 흐름 등이 맞물려 ELS가 투자 대안인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주목받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발행 형태별로는 공모발행이 14조6천291억원으로 전체 발행액의 60.7%를 차지했다. 사모발행은 9조4천748억원(39.3%)이었다.
예탁결제원은 “상대적으로 고수익을 노려 투자 위험을 감수하는 일반 투자자들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원금비보전형’ ELS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원금비보전형이 전체 발행액의 85.5%(20조6천158억원)를 차지했다. 발행액은 직전 분기보다 38.7% 증가한 규모다.
ELS의 기초자산으로는 개별 종목보다 지수가 압도적으로 더 많이 활용됐다.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전체 발행액의 99.1%인 23조8천943억원에 달했다. 개별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는 0.7%인 1천786억원을 차지했다.
증권사별로는 KDB대우증권이 3조6천736억원(15.2%)을 발행해 1위였다. KDB대우증권을 비롯한 상위 5개 증권사의 ELS 발행액은 전체 발행액의 56.5%(13조6천182억원)를 차지했다.
이 기간 ELS의 총 상환금액은 19조4천8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3.5% 증가했다.
상환 유형별로는 조기상환이 14조311억원으로 전체 상환 금액의 72.3%를 차지했고, 만기상환과 중도상환이 각각 4조3천297억원(22.3%)과 1조474억원(5.4%)이었다.
예탁결제원은 “조기상환의 경우 코스피200,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유로스탁스50지수 등 주요 지수가 상승하면서 지수형 ELS 위주로 수익이 조기 달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