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운영기술능력 등 추가 심의 필요”…23일 회의서 재심의
원자력안전위원회(위원장 이은철, 이하 원안위)는 9일 제38회 전체회의를 열어 신고리 3호기 운영허가안을 심의했으나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오는 23일 차기 회의에 재상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원안위는 이날 8시간에 걸쳐 동일 부지 내 다수 원자로 건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 벨기에 원전에서 확인된 원자로 용기결함 관련 신고리 3호기 원자로 용기의 건전성 확인 결과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원안위는 또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로부터 기기검증서 위조에 따라 신규로 교체된 케이블 설치 경과와 운영기술능력에 대해 보고받았다.
한국형 신형원전(APR 1400)인 신고리 3호기는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원전과 같은 모델로 처음으로 건설돼 가동되는 것이어서 안전성 확보 및 운전 허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고리 3호기는 100만㎾급 원자로인 한국표준형 원전(OPR 1000)의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발전용량을 140만㎾로 40% 높이고 설계수명을 40년에서 60년으로 늘렸다.
원안위는 2011년 6월 한수원의 신고리 3호기 운영 신청에 따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을 통해 2011년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심사를, 2008년 10월부터 지난 2월까지 사용 전 검사를 수행하고 그 보고서를 인터넷에 공개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