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후폭풍…수도권 주택담보대출 300조 돌파

금리인하 후폭풍…수도권 주택담보대출 300조 돌파

입력 2015-06-14 10:15
수정 2015-06-14 10: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 한 달 증가분 60%가 수도권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가계빚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가계부채의 핵심인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이 300조원을 넘어섰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여의도영업부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여의도영업부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따른 결과지만,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대출자들의 부담이 커져 금융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00조9천568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5조1천246억원 늘면서 300조원 선을 돌파했다.

1년 전인 작년 4월 말 271조7천535억원보다는 29조2천33억원이 증가했다.

반면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수도권의 절반을 약간 웃도는 176조8천884억원이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합친 전국 주택담보대출은 477조8천452억원으로 전달보다 7조9천735억원 늘었다. 전체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의 64.3%가 수도권에서 늘어난 셈이다.

이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수도권은 지방보다 강한 부동산 규제가 적용돼왔던 만큼 규제 완화의 효과가 비수도권보다 크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전세난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해 자가전환 수요가 커진 것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말했다.

4월 말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5조2천408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10조1천억원 증가했다.

이중 수도권의 가계대출은 460조4천652억원으로 전달보다 5조9천583억원 늘었다.

가계대출도 역시 한 달간 전체 증가분의 59%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이런 대출증가는 금리 인하와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로 전국 주택 거래량이 석 달째 10만건을 넘는 등 부동산시장이 활성화된 영향이다.

정부는 작년 8월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했고 한은도 8월부터 지난 11일까지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1.50%로 1%포인트 인하했다.

지난달 전국 주택매매거래량은 10만9천872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0.5% 늘었고 1∼5월 누적 거래량은 50만413건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신용대출과 달리 담보가 뒷받침되므로 위험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지만 금리가 상승하거나 집값이 떨어지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금융위기처럼 외부 충격으로 자산가격이 떨어지면 담보가치가 하락하는데 이로 인해 은행이 대출을 연장하지 않고 회수하는 것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시나리오”라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장기분할상환 위주로 재편해야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