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재 지도교수 “학술지 편집장, 논문 표절 문제없다고 답변”
국내 최연소 박사가 될 예정인 송유근(17)군은 21일 “천재는 사후 업적으로 평가받는 것이며 나는 천재라고 불리기에는 항상 부족하다”고 말했다.송 군은 이날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린 ‘과학영재아카데미 합동탐구모임’에서 초·중·고교생들과 만나 “주위에서 천재소년으로 불러주는 것이 고맙고 동시에 부담스러웠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는 “사람들이 날 천재소년으로 불러주는 것은 자신이 못했던 몫까지 더 열심히 해 성과를 내라는 뜻 같아 더 열심히 (연구)한다”고 덧붙였다.
점퍼와 셔츠 차림으로 강단에 선 송 군은 다소 긴장한 표정이었지만 마이크를 잡자 “노래라도 한 곡 부를까요?”라고 농담을 던지는 등 편안한 분위기로 학생들의 질문에 답했다.
송 군은 ‘연구가 잘 안 될 때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는 “운동하고 악기를 연주하면서 스트레스를 풀고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시도한다”고 말했다.
그는 물리학을 공부하게 된 이유와 관련해서는 “어릴 적부터 우주의 기원과 운명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우주를 연구하는 분야를 찾다가 블랙홀, 우주론, 초끈 이론이라는 분야를 찾았다”고 설명했다.
송 군은 막바지에 청중에게 “지금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는가”라고 물으면서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이 제일 중요하며 여기에 매진하고, 최고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 군은 8살에 대학에 입학해 화제가 됐고 최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통과해 내년 2월 만 18세3개월의 나이로 국내 최연소 박사가 될 예정이다.
그는 지난달 천체물리학저널에 블랙홀 관련 논문을 게재했다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이 논문이 자신의 지도교수인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위원의 2002년 학술대회 발표자료를 표절했다는 논란에 휘말렸다.
박 연구위원은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해 “논문이 실린 천체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편집자가 이메일로 ‘표절 문제가 없다’고 알려왔다. 곧 저널이 공식 견해를 밝힐 예정”이라고 전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 의혹에 대해 논문 투고 과정에서 이미 심사자에게 발표 자료에 관해 알렸고, 송 군이 이 자료를 토대로 중요한 편미분방정식을 유도한 것이 논문의 핵심인 만큼 표절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