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경단녀는 작년比 4% 줄어
올 들어 경력단절여성이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임신과 출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여성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법제화하고 예산 지원도 늘리고 있지만 직장에서는 여전히 휴가를 쓰기 어려워서다.
직장을 그만둔 이유로는 ‘결혼’이 75만 7000명(36.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육아’가 61만 4000명(29.9%), ‘임신·출산’이 50만 1000명(24.4%), ‘가족돌봄’이 10만 1000명(4.9%), ‘자녀교육’이 8만명(3.9%) 등이었다.
특히 임신·출산 때문에 경력단절여성이 된 경우는 1년 새 6만 5000명(14.9%)이나 급증했다. 육아 때문에 퇴직한 여성은 같은 기간 1만 3000명 줄었지만 전체 경력단절여성 중 비중은 0.6% 포인트 늘었다. 아빠들이 휴가를 쓰지 못하는 점도 원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에서 남성의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아빠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가’는 52.6주로 회원국 중 가장 길지만 사용률은 낮았다. 지난해 한국의 남성 육아휴직자는 3421명으로 전체 육아휴직자의 4.45%에 불과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12-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