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은 에너지저장장치(ESS)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미국 원에너지시스템즈를 인수했다고 12일 밝혔다.
ESS는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배터리에 전기를 비축해 뒀다가 사용량이 많은 시간에 전기를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일종의 대형 배터리다.
특히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풍력과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ESS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인수로 ESS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컨트롤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두산중공업이 인수한 원에너지시스템즈는 2011년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했다. 자체 개발한 ESS 컨트롤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북미 전력 업체에 공급하면서 그동안 안정적인 수익을 내 왔다.
두산중공업은 이 회사 이름을 두산그리드텍(Doosan GridTech)으로 변경했다.
ESS는 글로벌 시장뿐 아니라 국내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어 업계 전망이 밝다는 게 두산중공업의 설명이다.
지난 5일 발표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을 7%로 확대하는 내용의 ‘에너지 신산업 성과 확산과 규제개혁 종합대책’에 따라 2020년까지 ESS 분야에 4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작년 9월 스마트그리드 보급 지원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ESS와 소규모 전력망 시장에 처음 진출했으며, 단일 건물로 국내 최대 용량인 한국전력거래소(KPX) 본사 사옥에 2.4MWh급 에너지저장장치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이번 인수를 통해 두산중공업은 매년 20% 이상씩 성장해 2025년께는 12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글로벌 ESS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며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와 북미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동남아와 유럽 지역까지 시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ESS는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배터리에 전기를 비축해 뒀다가 사용량이 많은 시간에 전기를 공급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일종의 대형 배터리다.
특히 출력이 일정하지 않은 풍력과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ESS를 통해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인수로 ESS 분야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컨트롤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두산중공업이 인수한 원에너지시스템즈는 2011년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 출신 엔지니어들이 설립했다. 자체 개발한 ESS 컨트롤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북미 전력 업체에 공급하면서 그동안 안정적인 수익을 내 왔다.
두산중공업은 이 회사 이름을 두산그리드텍(Doosan GridTech)으로 변경했다.
ESS는 글로벌 시장뿐 아니라 국내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어 업계 전망이 밝다는 게 두산중공업의 설명이다.
지난 5일 발표한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율을 7%로 확대하는 내용의 ‘에너지 신산업 성과 확산과 규제개혁 종합대책’에 따라 2020년까지 ESS 분야에 4조5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작년 9월 스마트그리드 보급 지원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ESS와 소규모 전력망 시장에 처음 진출했으며, 단일 건물로 국내 최대 용량인 한국전력거래소(KPX) 본사 사옥에 2.4MWh급 에너지저장장치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이번 인수를 통해 두산중공업은 매년 20% 이상씩 성장해 2025년께는 12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글로벌 ESS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며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국내와 북미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동남아와 유럽 지역까지 시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