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래 활성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많지만, 법률 개정 등 대책이 제대로 가동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반론도 만만찮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불안감과 글로벌 재정위기 등이 맞물리면서 집값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신도시와 경기지역의 전셋값이 다소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매매시장의 부진은 계속되는 상황이다.
서울지역 재건축 아파트값은 송파, 강남, 강동, 서초 등 순으로 내렸다. 지난주에 호가가 일시적으로 올랐던 송파구에선 매수세가 뒤따르지 않아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가락시영2차(56㎡)는 6억 6000만~6억 7000만원 선으로 지난주에 비해 1000만원가량 하락했다.
강남구는 단지별로 가격을 낮춘 매물이 등장하고 있지만 반응은 차갑다. 개포주공1단지(56㎡)는 9억 1000만~9억 5000만원 선으로 역시 1000만원가량 떨어졌다.
서울지역 일반 아파트값도 송파, 도봉, 강남, 마포, 양천, 노원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급매물이 잇따른 송파동의 삼성래미안(109㎡)은 2500만원이나 하락해 6억~6억 7000만원 선이다. 신도시는 경기 평촌의 내림세가 강했다. 비수기 진입과 불황으로 거래가 끊긴 지 오래다. 관양동 한가람세경(62㎡)은 2억~2억 3000만원 선으로 500만원가량 하락했다. 경기지역에선 성남, 과천, 고양의 하락률이 두드러졌다.
지난주 전세시장도 거래 부진으로 서울지역에선 약보합세가 이어졌으나, 일부 수도권 지역에선 조심스럽게 반등 움직임을 나타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6-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