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이 꿈틀거린다

주택시장이 꿈틀거린다

입력 2014-08-04 00:00
수정 2014-08-04 0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융규제 완화로 기대감 커져… 가을 이사철 이후 집값 오를 듯

주택시장이 금융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수도권 주택시장에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집주인이 부르는 값을 올리거나 매물을 거둬들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주택시장 움직임은 정부의 부동산시장 활성화 정책 발표와 2기 경제내각 출범 이후 뚜렷해졌다. 주택시장의 불합리한 규제로 지목됐던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등 금융규제가 완화되면서 집값 상승·거래 증가에 대한 기대감이 번지고 있는 것이다.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구매 문의 증가이다.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투자 목적의 구매 수요가 늘고 있다. 무주택자의 내집마련 구입 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3일 서울 강남구 반포동·개포동 일대와 강동구 둔촌동 재건축 대상 아파트 밀집지역 부동산중개업소들은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후보자 시절 금융규제 완화를 시사했을 때만 해도 불확실성 때문에 시장이 움직이지 않았는데 금융규제 완화 확정 이후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고 입을 모았다.

투자자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한 투자자는 “집값이 바닥까지 내려온 데다 재건축 사업 추진 속도도 빨라질 것 같아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여름 휴가가 끝나고 가을 이사철이 본격화되면 아무래도 집값이 오르지 않겠냐는 예상도 했다. 전세를 살고 있다는 세입자는 “9월 전세 만료를 앞두고 집주인이 전셋값을 올리는 바람에 내집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집주인의 매물 회수와 호가 올리기도 잇따르고 있다. 집주인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올리는 현상은 집값이 오르고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때 일어난다. 강동구 둔촌 주공3단지 112㎡짜리는 7억 65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가 최근 집주인이 호가를 7억 8000만원으로 올렸다. 경기도 분당 서현동 삼성·한신 아파트 108㎡는 6억원을 넘지 않던 호가가 최근 한달사이에 6억 2000만∼6억 3000만원까지 올랐다. 집주인들이 거래 증가를 예상하고 집값을 올려 내놓은 것이다.

당장 거래 증가세가 보이지는 않지만 분위기는 확 달라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거래량은 6142건으로 전달(5188건)보다 18.4% 증가했다. 7월 거래량으로는 2009년 7월(9005건) 이후 최고치다. 이런 추세는 가을 이사철과 맞아 떨어져 이어질 전망이다.

아파트 경매 시장도 달아올랐다. 두 달 연속 낙찰가율이 오름세를 기록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85.2%로 지난달(84.1%)보다 높아졌다. 지난해 7월(78.3%)과 비교하면 6.9% 포인트나 올랐다.

전문가들은 여름 휴가가 끝나고 가을 이사철로 접어들면 주택 시장이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전세를 살던 사람들이 집값 상승에 대한 불안감과 전세보증금 인상 압력에 내집 마련 쪽으로 결정하는 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08-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