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동대문·미아뉴타운 등 기승
올해 매매 19.5%가 지방 투자자…“하반기 역전세난 땐 손실 우려”
갭 투자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곳은 서울 성북구(전세가율 83.3%)와 동대문구(81.2%), 구로구(80.6%), 서대문구(80%), 관악구(79.7%) 등 전세가율이 높은 곳들이다. 강북구 미아뉴타운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우이~신설 경전철이 7월 개통 예정이라선지, 인근 아파트를 찾는 사람이 늘었다”면서 “직접 들어와서 살기보다는 앞으로 늘어날 전세 수요를 보고 갭 투자를 하러 온 사람이 많다”고 귀띔했다.
지방에서 원정 투자를 오는 사람들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4월 매매 거래된 서울 아파트 중 서울 외 지역 거주자가 사들인 비중은 19.5%(7416건)로 나타났다. 건설사 관계자는 “지방 부동산은 침체 국면이지만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르면서, 지방에서 원정을 오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심지어 아파트 청약시장에도 지방에서 온 투자자들이 미계약 물건을 받기 위해 줄을 설 정도”라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함부로 갭 투자를 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올 하반기부터 수도권 입주물량이 급증해 역전세난이 발생할 경우 손실을 볼 가능성도 있다. 실제 지난해 말과 올해 초 하남미사신도시와 위례신도시 등에서 물량이 쏟아지면서 인근 지역의 전셋값이 하락해 역전세가 발생했다. 부동산 관계자는 “역전세난이 발생하면 전세금을 돌려주기 위해 투자금이 추가로 들어가야 하는데, 그만한 자금이 없으면 결국 집을 급매로 내놔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7-06-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