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거래 중 아파트 비중 76.6% ‘역대최고’…쏠림현상 심화

작년 주택거래 중 아파트 비중 76.6% ‘역대최고’…쏠림현상 심화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5-02-17 16:15
수정 2025-02-17 1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주택 매매거래 64만 2576건
서울 아파트거래 62%…세종 등 90%대
빌라시장 위축…지방서 쏠림현상 심화

이미지 확대
지난 13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 13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들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76.6%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역전세·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등의 시장이 위축됐고, 젊은층의 아파트 선호를 반영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거래는 64만 2576건 이뤄졌다. 이 중 아파트 거래량이 49만 2052건으로 전체의 76.6%를 차지했다. 다세대주택 거래량이 7만 5943건(11.8%)으로 아파트 다음으로 많았고, 단독주택(7.5%), 연립주택(2.9%), 다가구주택(1.2%) 순이었다.

지난해 아파트 거래 비중은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다. 주택 매매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0% 중후반에서 70% 초반대를 오가다가 집값이 급등기인 2020년 73.0%까지 뛰었다. 2021년 아파트 거래 비중은 65.9%로 다시 낮아졌고,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며 주택 거래량이 반토막 난 2022년에는 58.7%로 떨어졌다. 그러다 2023년에는 역전세·전세사기 사태로 빌라(다가구·다세대·연립) 매매거래량이 2022년의 14만 2010가구에서 9만 3244가구로 급감했고 아파트 거래량은 늘었다.

지방 주택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서울보다 높다. 지난해 서울 주택매매 거래에서 아파트 비중은 62.4%였다. 대구에서 일어난 주택 매매거래 2만 7663건 중 90.5%(2만 5027건), 광주에서도 1만 8497건 중 90.5%(1만 6740건)가 아파트였다. 세종의 경우 주택거래의 96.3%를 아파트가 차지했다. 울산(89.5%), 대전(82.5%), 경남(81.9%), 부산(81.3%)은 아파트 거래 비중이 80%를 넘었다.

아파트 쏠림 현상은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세종시 같은 경우는 대부분의 주택 물량이 아파트라 아파트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고 광주도 마찬가지”라며 “MZ세대가 주택시장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이왕 소유하려면 살기 편하고 나중에 팔기도 쉬운 아파트로 몰리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