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야구선수가 어머니를 기리는 방법/박창규 체육부 기자

[지금&여기] 야구선수가 어머니를 기리는 방법/박창규 체육부 기자

입력 2011-04-30 00:00
수정 2011-04-30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는 그 순간, 아들은 웃고 있었다. 동료들과 얼싸안고 손뼉쳤다. 오랜만에 경험한 짜릿한 역전승이었다. 연장 10회 말 7-6, 1점차 승리. 그것도 상대가 리그 1위 SK였다. 기분이 들뜰 수밖에 없었다. 프로야구 롯데 외야수 이인구, 그 순간을 즐긴 뒤 라커룸으로 돌아왔다. 구단 직원이 기다리고 있었다. “인구야,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경기 중이라 말을 못 전했다.”

이미지 확대
박창규 체육부 기자
박창규 체육부 기자
30세 아들은 아이처럼 울었다. 웃음이 울음으로 변했다. 지난 23일 부산 사직구장에서였다. 장례식장은 서울의 한 병원이었다. 이인구는 마지막 기차를 타고 혼자 서울로 향했다. “엄마…, 엄마….” 황망한 죽음이었다. 어머니는 57세. 아직 젊었다. 아들 뒷바라지에 평생을 바쳤다. 키 크고 마른 아들은 어릴 적부터 잘 뛰고 잘 굴렀다. 운동선수가 제격이었다. 야구를 선택했고 선수생활을 즐거워했다. 그러나 운동선수 부모 노릇하기는 쉬운 게 아니다. 다치지는 않을까. 내가 못 먹여서 성적이 안 나오는 게 아닐까. 어머니는 항상 노심초사했다.

“인구야, 안 다치게 조심조심해라.” 어머니가 임종 직전 남긴 마지막 문자였다. 어머니는 지난해 폐암 판정을 받았다. 회복 가능성이 없었다. 다만 손자가 태어날 7월까지만 버텨주길 바랄 뿐이었다. 자기 몸도 성치 않은 어머니는 마지막까지 아들 걱정을 했다. 그런 어머니가 갔다. 아들은 울 수밖에 없었다.

26일 발인이었다. 이인구는 장례 절차가 끝나자마자 부산으로 돌아왔다. 3일 동안 못 자고 못 먹었다. 가슴속엔 마른 바람이 부는 듯했다. 정상 컨디션일 리가 없다. 구단에선 “일주일 정도 쉬는 게 낫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래도 기어코 야구장으로 향했다. 이유가 있다. “어머니는 제가 야구하는 모습을 보는 걸 제일 좋아했으니까요. 그걸 보여 드리려고….” 이인구는 말끝을 흐렸다.

28일 이인구는 사직 LG전에서 5타수 4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 펄펄 날았다. 6회 말 중전 안타를 친 뒤 1루에 서서 잠시 하늘을 올려다봤다. “어머니 보고 있지요?” 야구하는 아들이 어머니를 기리는 방법이다.

nada@seoul.co.kr
2011-04-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