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소리] 쌀의 변신이 필요하다

[독자의 소리] 쌀의 변신이 필요하다

입력 2014-10-14 00:00
수정 2014-10-14 0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벼 작황이 좋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산지 유통업체들이 지난해 쌀 재고 처분을 서둘러 쌀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다. 반면 통계청이 발표한 ‘2013양곡연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쌀소비는 줄었지만 떡류 쌀과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 쌀은 전년보다 각각 11.2%와 35.2% 증가했다.

이는 쌀이 한국인의 주식 ‘밥’이라는 단순 이미지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할 때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첫째, 다양한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변신해야 한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쌀 고유의 영양분 외에 클로렐사, 칼슘, 강황, 베타카로틴, 키 성장, 체지방 분해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미한 기능성 쌀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

둘째, 소비자 변화의 트렌드를 읽어야 한다. 소비자는 양보다 맛과 편리성을 추구한다. 커피의 변신은 눈여겨볼 만하다. 맛있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제품으로 진화해야 한다. 쌀 추출액에 딸기나 녹차 맛이 더해진 쌀 라떼, 식사 대용식의 쌀 피자, 흑미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식품이 경쟁력이 있다.

셋째, 해외 소비자에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쌀 가공식품에 대한 수출 기반을 넓혀야 한다. 마지막으로 체험 마케팅이 필요하다. 소비자들에게 오감을 통해 쌀, 쌀가루를 직접 만지고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쌀 가공제품의 친숙함과 구매 욕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변성섭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2014-10-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