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도다리쑥국/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도다리쑥국/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4-10 00:00
수정 2013-04-1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릴 적 봄날, 밭두렁에 돋아난 쑥을 캔 뒤 한 바구니에 담는 재미가 참 좋았다. 가족이 함께한 나름의 ‘놀이’였던 셈이다. 쑥을 바구니에 담아 와 마당에 말렸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봄볕을 잘 받은 쑥잎은 나중에 쑥떡으로 빚어져 간식으로 나왔다. 더러 멸치와 된장을 넣은 쑥국도 밥상에 올랐지만, 그 쓴맛에 나의 숟가락은 근처에 얼씬도 하지 않았다.

30~40대 때는 잦은 음주로 간이 나빠져 말린 인진쑥을 사서 끓인 뒤 마신 적도 있다. 쑥잎을 찧어 만든 솜 모양의 뜸쑥도 요즘 널리 애용되는 침구술의 하나이다. 쑥은 이처럼 식용과 약용으로 생활에 유익하게 쓰인다. ‘삼년 묵은 쑥은 칠년 된 지병을 고친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최근 점심 때 먹은 ‘도다리쑥국’의 쑥향이 일품이었다. 도다리와 쑥을 넣고 끓인 국으로,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경남 통영의 봄철 음식이란다. 육지의 햇쑥과 바다 도다리의 절묘한 만남, 이만한 ‘산해(山海) 진미’가 또 있을까 싶다. 누구나 어렵게 살던 때, 제철 식재료를 ‘버무린’ 지혜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4-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