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불편한 동거/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불편한 동거/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5-07-10 18:02
수정 2015-07-10 2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거북이 두 마리가 함께 산다. 아이들 성화에 못 이겨 집에 들인 지 5년. 녀석들 건사하는 일은 줄곧 내 차지였다. 새끼손가락만 했던 것들이 어느새 손바닥보다 몸피가 더 굵어졌다. 끼니 챙겨 주기에 꾀가 날 때마다 생각을 고쳐 먹는다. 상대가 누군가. 장수 운(運)을 주무른다는 영물, 거북이다. “너희들 배곯리지 않으려면 내가 하루라도 더 살아야지….” 노부부가 등 쓸어 주며 주고받는 드라마 속 대사를, 내가 해 놓고 내가 혼자 웃는다.

청거북 수명이 20년이다. 기실 웃을 형편이 못 된다. 애틋하지 못한 동거를 끝내고 싶은 마음, 진작에 굴뚝이다. 생태계를 뒤죽박죽 만든다니 한강에 방생도 못 하고.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쳐다보는 영물을 산속에 갖다 놓고 돌아설 용기도 없고. 미국 미시시피 계곡이 고향이라는데, 떵떵대며 천수 누릴 녀석들이 천덕꾸러기다. 팔자에 없는 ‘거북 봉양’에 묶인 나는 또 무슨 죈가.

아마존에, 남아프리카에 있어야 할 피라니아, 발톱개구리가 엉뚱한 데서 발견돼 사람들이 기함한다. 키우다 버리는 죄, 불가에서는 무거운 업(業)이다. 한 치 앞을 못 내다본 환경부가 여러 사람을 참 딱하게 만든다.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7-1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