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수성 실종 시대/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감수성 실종 시대/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2-17 18:24
수정 2016-02-17 2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함께 길을 걷기가 힘겨운 친구가 하나 있다. ‘남의 일’에 관심이 많다 보니 조금이라도 눈길을 끄는 게 있으면 그냥 지나치지를 못한다. 1인 시위든, 모금 이벤트든, 길거리 공연이든 꼭 사연을 훑어본다. 내키면 서명도 하고 돈도 낸다. 좀 지나치다 싶길래 한번은 “가자. 쓸데없이 뭔 관심이 그리 많아?”라고 했다가 한소리 들었다. “이런 감수성 없는 친구 같으니라고!”

떨어지는 나뭇잎에도 눈물을 흘리는, 그런 감정을 감수성으로 알던 내게 친구의 꾸지람은 낯설었다. 그런데 그의 질책은 마땅했다. 감수성은 글자 그대로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는 성질 아닌가. 누가 억울한 일을 호소하든 무감각하게 지나친다는 건 결국 감수성 부족인 것이다. 중국 송대 유학자인 정호는 ‘황제내경’에 나오는 불인(不仁)에서 감수성의 의미를 찾았다. 이 책에선 신체가 마비돼 감각이 없는 상태가 불인이다. 마비된 다리를 꼬집으면 아무런 고통을 느낄 수 없듯 타인의 아픔에 대한 관심과 공감이 없는 세태를 나무란 것이다. 에리히 프롬이 ‘사랑의 기술’에서 지적했듯 관심은 모든 사랑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한데 우리는 감수성 실종 시대를 살고 있는 건 아닌지.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2-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