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스마트폰 육아/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스마트폰 육아/김균미 수석논설위원

김균미 기자
입력 2017-10-17 22:42
수정 2017-10-17 2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야, 밥 먹어. 아이, 착해.” “이모님, 팬티 좀 잘 입혀 주세요.”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는데 근처에서 소곤대는 목소리가 들렸다. 휴대전화로 뉴스를 읽거나, 페이스북·카톡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게임을 하는 사람들 사이로 스마트폰 화면을 뚫어져라 쳐다보는 한 여성이 눈에 들어왔다. 주위 시선에는 아랑곳없이 이어폰을 귀에 꽂고 소형 마이크에 대고 연신 뭐라고 얘기를 했다. 출근길에 몇 번 마주쳤던 30대로 보이는 ‘워킹맘’이다.

스마트폰 화면에 남자 아이가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이 얼핏 보였다. 집안에 설치한 폐쇄회로(CC)TV로 아이가 일어나 밥 먹고 노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보고 있었다. 사무실에서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컴퓨터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집에 두고 온 어린 자녀들이 잘 놀고 있는지 살피는 경우는 간혹 봤지만 스마트폰으로 아이의 상태를 ‘관찰’하는 ‘스마트폰 육아’는 처음 봐 낯설기도 했지만 가슴이 짠했다.

가정용 CCTV가 육아의 필수품이 된 지 오래라고 한다. 저렇게까지 하지 않고도 맘 편히 아이를 키울 수 있어야 ‘정상 사회’다. 발길도, 마음도 무겁다.

kmkim@seoul.co.kr
2017-10-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