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단식/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단식/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9-01-27 20:36
수정 2019-01-28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배고픔을 잘 참지 못하는 편이다. 공복이 길어지면 나도 모르게 신경이 예민해진다. 건강검진 전에 해야 하는 금식도 매번 고역이다. 때문에 간혹 업무가 밀렸거나 속이 좋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끼니를 거르는 경우 말고는 자발적인 단식은 엄두를 못 낸다.

최근 단식이 잇따라 화제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하나는, TV프로그램에서 다이어트 방법으로 소개한 ‘간헐적 단식’이다. 일정 시간에만 식사를 하고 그 외에는 공복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체중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몸이 단식을 하는 것처럼 착각하게 만드는 ‘FMD’(단식모방식단)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다른 하나는,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릴레이 단식농성이다. 한국당은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임명에 반발해 지난 24일부터 국회 일정을 거부하고 릴레이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그런데 단식 시간이 5시간 30분이란 점 때문에 논란이 일었다. 보통 식사 간격이 6시간이란 점을 감안하면 중간에 간식을 먹지 않겠다는 의미에 불과하다 보니 ‘딜레이 식사’, ‘웰빙 단식’이란 비판을 자초한 모양새가 됐다.

고도의 정치적 행위인 국회의원의 단식이 이렇게 희화화되고, 조롱당하는 것은 지켜보는 국민으로서도 민망한 노릇이다.

2019-01-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