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봄 오던 길/황수정 논설위원

[길섶에서] 봄 오던 길/황수정 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19-03-14 23:02
수정 2019-03-15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누구한테나 오는 봄은 누구한테나 다른 길로 온다. 어렸을 적 나의 봄은 참꽃 포대자루로 왔다.

바늘 봄볕이 이마를 쏠 때면 우리집 여인들은 하루 날을 잡아 꽃을 따러 산을 올랐다. 이파리 하나 없는 빈 가지에 오종종 벗고 피어서, 참꽃. 딴 이름이 진달래라는 것을 한참 더 커서야 알았다.

한주먹 따고 한입 먹고. 환청인지 환영인지 그 산에서는 서로 눈을 맞추며 종일 웃었다. 포대자루가 부풀어지면 하얀 면양말 갈아 신은 어느 발이 천천히 꽃을 눌렀다. 자루째 업혀 온 꽃은 잠자코 기다리면 약술이 된다 했는데. 익지도 않은 꽃 단지를 열고 또 열어 곤드레만드레 꿈에서 취했던 날, 즐거운 시절.

몇 년째 나의 봄은 출퇴근길의 모퉁이 동네 텃밭으로 왔다. 웃거름에 꼬리꼬리한 땅내를 뚫고 마늘순이 한 뼘이나 솟으면, 봄이었다.

이 봄에는 그 봄이 오지 않는다. 목 빼고 기다려도 마늘순은 목을 빼지 않고. 흙을 다독이던 지붕 낮은 집 할머니도 보이지 않고. 전봇대 집은 봄동 씨앗을 뿌리지 않았는지. 오십층 아파트 긴 그림자가 겨우 남은 그 봄마저 데려갔다.

다 어디로 데려갔을까. 오지게 맨발로 지르밟아도, 자루째 들쳐 업고 와도, 봄마다 깊어지던 봄을.

sjh@seoul.co.kr
2019-03-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