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바나나의 추억/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바나나의 추억/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19-06-12 21:04
수정 2019-06-13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나나는 귀하디귀한 과일이었다. 열대의 나라에서 자라 바다 건너온 바나나는 쉽게 맛볼 수 없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제법 잘사는 동네 친구 집에 놀러가서 얻어먹어 본 바나나 한 조각은 그동안 먹어 봤던 어떤 과일과도 비교할 수 없는 미묘한 맛이었다. 부드러운 식감에 달콤한 그 맛은 남국에 대한 동경을 부풀리기에 충분했다. TV 드라마 속 타잔 곁의 치타가 부러울 만큼이었다.

그때부터 엄마를 졸랐다. 엄마는 큰맘 먹고 소풍 전날 바나나 한 개를 사줬다. 소풍 때 김밥에 사이다, 과자 한 봉지면 족하던 시절 최고의 호사였다. 들뜬 마음에 밤새도록 바나나를 만지작거리다 잠들었다. 아침에 깨보니 바나나는 다 뭉개져 있었다. 대성통곡하니 보다 못한 엄마는 다시 하나를 사주마 약속했지만, 그 아침 문을 연 과일가게는 없었다.

40년이 흐른 지금 몇천원이면 한 개가 아니라, 열댓 개가 달린 한 송이를 살 수 있을 만큼 바나나는 흔한 과일이 됐다. 그 옛날 그 맛도 아니다. 1980년대 자체 재배해 그 나름대로 번성하다 1993년 우루과이라운드 타결 이후 밀려든 수입 바나나에 자취를 감췄던 국산 바나나가 다시 재배된단다. 흐릿한 사진 속 장면처럼 남은 옛 기억들도 다시 새록새록 잎을 틔운다.

2019-06-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