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두 편의점/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두 편의점/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9-16 20:12
수정 2020-09-17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네 편의점을 자주 들르는 편이다. 이것저것 주전부리를 고르기도 하지만 갈 때마다 특정 물품은 반드시 산다. 두 곳의 편의점이 있는데 발길은 늘 한 곳으로만 향한다.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단골 편의점은 알바생 없이 주인 부부가 365일 24시간 교대로 손님을 맞는다. 70대 중반의 주인장은 산업화 세대로 굴지의 대기업에서 임원까지 지내다 은퇴한 뒤 편의점을 열었다고 했다.

어느 날 늦은 밤 거나하게 술을 마셔 축 늘어진 몸으로 편의점 문을 열었을 때 그는 마치 큰형이 막내동생을 맞듯이 살갑게 어깨를 부축하며 주문하지도 않은 숙취 해소 음료를 손에 쥐여 줬다. 말하지 않아도 원하는 특정 물품을 콕 찍어 꺼내 든다. 아침이면 하루를 즐겁게 열 수 있도록, 저녁이면 피로한 심신을 달랠 만한 안성맞춤 대화를 건네니 어찌 단골이 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반면 또 다른 편의점 주인과 알바생은 마스크 안에 표정과 감정을 감춘 채 건조한 결제 요구만 해 댄다. 그것뿐인가. 원하는 특정 물품을 여태껏 기억하지 못해 몇 번이나 되묻곤 한다. 곧 쓰러질 듯 피곤한 기색을 비쳐도 그저 POS 기기만 응시할 뿐이다. 아무리 언택트 시대라고 해도 감정마저 언택트일 수는 없다. 마음 가는 곳으로 발길은 따라가기 마련이다.

stinger@seoul.co.kr
2020-09-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