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반려동물/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반려동물/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9-14 16:40
수정 2021-09-15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끔 개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길을 가다 아장아장 걷는 귀여운 강아지를 발견했을 때, 문득 외로움이 밀려들 때다. 키우던 개를 끔찍이 사랑해 해외 지사에 나갈 때도 비행기로 실어 갔다는 지인은 “밤늦게 집에 왔을 때 가족들은 다 자고 있는데, 개만 자지 않고 반겨 준다”며 반려견의 매력을 설파했다.

하지만 내 한몸 건사하기도 힘들다 보니 개를 키우는 건 솔직히 엄두가 나지 않는다. 때맞춰 사료 챙겨 주고, 목욕시켜 주고, 산책시켜 주고, 수시로 눈을 맞추며 놀아 줄 자신이 없다. 무엇보다 내가 맛있는 고기 반찬을 먹을 때 개는 사료를 먹어야 한다는 이유로 앞에서 침을 질질 흘리며 애처롭게 쳐다보는 반려견의 눈빛을 외면하기 힘들 것 같다.

며칠 전 거실 밖 베란다 난간에 까치 한 마리가 날아와 잠시 앉았다가 날아가는 것을 봤다. 그런가 보다 했는데 다음날도 까치가 날아와 같은 곳에 앉아 있었다. 순간 야생동물과 우연히 인연을 맺어 서로 죽고 못 사는 사이가 됐다는 사람의 사연을 TV에서 본 기억이 났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거실문을 열고 나갔는데 웬걸 까치가 퍼드덕 날아가 버렸다. 그럼 그렇지, 의무는 다하기 싫고 좋은 것만 취하려는 내 속셈을 모를 리가 있나.

2021-09-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