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맏딸은 최고의 노후 복지/최광숙 논설위원

[씨줄날줄] 맏딸은 최고의 노후 복지/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7-02-05 22:22
수정 2017-02-05 22: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변호사, 의사 아들을 둔 노인보다 평범한 직장에 다니는 딸을 둔 노인들이 더 좋은 옷을 입더라.” 돌아가신 친정어머니가 주변 노인들의 옷차림을 보고 평(評)하시던 얘기다. 아들은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도 며느리 지갑으로 다 들어가니 오히려 돈은 적게 벌어도 딸이 부모들을 더 살뜰하게 챙긴다는 뜻이었다.
‘맏딸은 살림 밑천’이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사회에서 맏딸은 ‘헌신과 희생’으로 집안을 일구는 자식이다. 산업화 시대 가난한 가정의 맏딸들은 학업을 접고 공장에 다니며 집안 생활비에 동생들 학비까지 대주며 자신의 삶을 희생했다. 한 백화점에서 8년간 ‘친절왕’ 사원 100명을 분석한 결과 그 가운데 54명이 장녀라는 통계는 우연히 나온 게 아니다.

이런 맏딸의 ‘DNA’는 서구라고 다르지 않다. 3남매 중 맏딸인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도 결혼을 하면서 남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을 따라 시골 아칸소주에 갔을 때 두 남동생을 그곳으로 불러들여 공부를 시켰다고 한다. 한 남동생은 변호사가 됐지만 다른 남동생은 직업이 변변치 않아 힐러리가 이 동생에게 아들 학자금을 보내거나 직장을 구해 주는 등 신경을 많이 썼다고 한다. 우리의 전형적인 장녀의 모습이다.

‘영국의 힐러리’로 불린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의 부인인 셰리 블레어가 2013년 허핑턴포스트에 “딸을 교육시키는 게 사회적으로 더 이득이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유인즉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에게 똑같은 투자를 하고 수익을 거두게 한 뒤 그 수익이 어떻게 쓰이는지 조사했더니 여자들은 수익의 90%를 가족을 위해 사용했다는 것이다. 반면 남자들은 수익의 30~40%만 가족에게 투자했다고 한다. 즉 여성, 어머니를 교육할 경우 가족들의 삶이 더욱 윤택해질 수 있다는 뜻이다.

생물학적으로 봐도 여성들의 삶이 남성들보다 보육과 가족 부양 등에 더 깊숙하게 개입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아이들의 보육과 노인 부양 정책을 설계할 때 여성을 더 지원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 핀란드 첫 여성 대통령 타르야 할로넨의 주장이다. 실제로 복지국가인 북유럽 복지모델은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성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면 자녀 양육 등 가족들의 복지 문제가 가정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 노부모가 가장 많이 만나고 전화하는 자녀는 ‘장녀’라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장남을 정점으로 하는 부계 중심이 약해지고 맏딸을 중심으로 새로운 가족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는 얘기다. 장남의 역할이 큰 집안도 있겠지만 아들보다 강한 정서적 유대감과 소통력, 책임감을 지닌 맏딸들이 이제는 취업으로 경제력까지 갖췄으니 부모로서는 ‘맏딸이 최고의 노후 복지’ 아닐까.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7-02-0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