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FP통신,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들은 한국 언론과 정부 당국의 발표를 종합해 한국 해군 초계함이 북한과 인접한 서해 백령도 인근에서 침몰하고 있다고 긴급 타전했다.
AFP는 오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사고로 초계함 뒤쪽에 구멍이 나면서 104명의 해군이 승선한 1200t급 초계함이 침몰하고 있으며 긴급 구조활동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한국 해군은 초계함이 침몰하는 동안 서해안 인근에서 확인되지 않은 선박을 향해 사격을 가했다고 국내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AFP는 초계함이 침몰한 해역이 1999년과 2002년에 북한군과 교전이 발생했던 장소라는 사실도 언급했다.
영국 BBC는 침몰 지점을 표시한 지도와 함께 정확한 사고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뢰 공격을 당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일간 가디언도 한국 정부 당국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사고인지 조사하고 있다면서, 청와대가 긴급 안전보장회의를 소집했다고 전했다.
미국 CNN도 생방송을 통해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인 백령도의 위치를 소개하며 초계함 침몰 소식을 전했다.
중국의 관영 영자지 차이나 데일리는 ‘한국 해군 초계함 침몰, 북한군의 공격 의심’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이 소식을 전하면서 27일 0시30분까지 104명의 승선 군인 중 58명을 구조했다고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했다. 또 이번 침몰과 관련된 한국 방송사의 자료 화면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진을 함께 게재하는 등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이외에도 뉴욕타임스 등 미국의 주요 언론과 일본 교도·지지 통신 등 세계의 주요 언론이 시간대별 상황을 속속 전하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AFP는 오후 9시에서 10시 사이에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사고로 초계함 뒤쪽에 구멍이 나면서 104명의 해군이 승선한 1200t급 초계함이 침몰하고 있으며 긴급 구조활동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한국 해군은 초계함이 침몰하는 동안 서해안 인근에서 확인되지 않은 선박을 향해 사격을 가했다고 국내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특히 AFP는 초계함이 침몰한 해역이 1999년과 2002년에 북한군과 교전이 발생했던 장소라는 사실도 언급했다.
영국 BBC는 침몰 지점을 표시한 지도와 함께 정확한 사고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뢰 공격을 당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일간 가디언도 한국 정부 당국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의한 사고인지 조사하고 있다면서, 청와대가 긴급 안전보장회의를 소집했다고 전했다.
미국 CNN도 생방송을 통해 구조 작업이 진행 중인 백령도의 위치를 소개하며 초계함 침몰 소식을 전했다.
중국의 관영 영자지 차이나 데일리는 ‘한국 해군 초계함 침몰, 북한군의 공격 의심’이라는 제목의 기사로 이 소식을 전하면서 27일 0시30분까지 104명의 승선 군인 중 58명을 구조했다고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했다. 또 이번 침몰과 관련된 한국 방송사의 자료 화면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진을 함께 게재하는 등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이외에도 뉴욕타임스 등 미국의 주요 언론과 일본 교도·지지 통신 등 세계의 주요 언론이 시간대별 상황을 속속 전하며 촉각을 곤두세웠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03-2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