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자체 개발한 유인 심해잠수정 자오룽(蛟龍)호가 26일 태평양 동북부 해양에서 5000m 해저 탐사에 성공했다. 자오룽호는 베이징 시간으로 오전 6시 9분 해저 5000m를 돌파했고, 잠시 후 5056.8m까지 내려갔다. 중국중앙(CC)TV는 특별 프로그램을 편성해 자오룽호의 해저 5000m 도달 상황을 생중계했다.
3명의 승무원 예충(葉聰), 양보(楊波), 푸원타오(付文韜)를 태운 자오룽호는 오전 3시 38분 모선에서 내려져 3시 57분부터 잠수를 시작했으며 1분에 40m씩 심해로 내려갔다. 앞서 자오룽호는 지난 21일 첫 번째 시험 탐사에서 해저 4027m까지 도달했다. 중국은 내년에 자오룽호를 해저 7000m까지 내려보내 일본을 앞설 계획이다. 일본 신카이(深海) 6500호는 1989년 8월 해저 6527m 탐사 기록을 세웠다. 현재 해저 5000m 이상의 심해 탐사 기술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4개국에 불과하고, 이 국가들이 비용 문제 등으로 심해 탐사에 소극적인 상황에서 중국은 급속히 해저 탐사 기술을 높여왔다.
중국 해양국 측은 “5000m 해저 탐사 성공으로 해저 자원의 70%를 탐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면서 “7000m 기록을 세우게 되면 전 세계 해저 자원의 99.8%를 탐사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지난해 남중국해에서 자오룽호를 해저 3000m로 내려보내 국기인 오성홍기를 꽂는 등 우주개발과 함께 해저 탐사를 애국주의 고취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 공산당 창당 기념일인 지난 1일 성대하게 자오룽호를 출정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단은 해저 자원 탐사가 목적이지만 통신선 절단이나 잠수함 수리 등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1-07-2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