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CTV 여성 간부 실종, 링지화와 관련 있나

중국 CCTV 여성 간부 실종, 링지화와 관련 있나

입력 2014-09-29 00:00
수정 2014-09-29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의 반(反)부패 사정의 칼날이 관영 중앙(CC)TV를 겨냥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CCTV 시사뉴스부 펑쭤(馮卓) 부주임이 최근 1주일간 행방불명돼 주목된다고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보쉰(博迅)이 28일 중국 매체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쉰은 후진타오(胡錦濤) 전 국가 주석의 비서실장을 지낸 링지화(令計劃) 통일전선공작부장의 정부(情婦)로 알려진 펑쭤 부주임이 링 부장과 관련된 조사를 위해 사정 당국에 연행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 사정 당국은 다음달 개최되는 제18기 공산당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를 앞두고 조만간 링 부장에 대한 부패 조사에 착수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1998년 CCTV에 입사한 펑쭤 부주임은 시사뉴스부로 자리를 옮긴 후 승진 가도를 달려왔고 여러 차례 수상하기도 한 뉴스 부문 핵심 간부이다. 링 부장의 후광 덕분으로 알려졌다.

앞서 홍콩 매체들은 지난 25일 링 부장의 CCTV 내 심복으로 알려진 왕징(王晶) ‘사회와 법’ 채널(12번 채널) 고문이 사정 당국에 연행됐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한편, CCTV는 지난 6월 경제채널 총감인 궈전시(郭振璽)와 제작자인 톈리우(田立武)가 뇌물수수 범죄 혐의로 검찰에 구속된 데 이어 유명 앵커 루이청강(芮成鋼)이 간첩 혐의로 구속되면서 반부패 칼날이 CCTV를 정조준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CCTV는 이밖에 체포되거나 조사를 받는 간부와 앵커들이 상당수 있으며, 이 중에는 유명 여성 앵커인 선빙(沈氷·37)과 예잉춘(葉迎春)이 포함됐다.

이 여성 앵커들은 최근 낙마한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정법위원회 서기의 내연녀들이며, ‘저우융캉 사건’과 관련해 조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해 12월 CCTV의 부사장 출신인 리둥성(李東生) 전 공안부 부부장이 낙마한 이후 그와 가까운 CCTV 간부와 앵커들에 대한 조사설이 나돌았다. 리 전 부부장은 저우 전 서기의 정법위 인맥에 속하면서 고위 간부들에게 여성 앵커들을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