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이어 글로벌 고문단 합류 “정·재계 유명인사로 건재 과시” <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장클로드 트리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진 스펄링 전 미국 대통령 경제고문, 앤마리 슬로터 전 미국 국무부 정책기획실장, 마이클 스펜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이들이 모두 한 회사에 몸을 담았다.
핌코가 세계 정·재계의 거물급 인사를 영입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4월에는 버냉키 전 연준 의장을 수석고문으로 영입해 글로벌 고문단을 이끌도록 했다. 여기에 트리셰 전 ECB 총재와 2013년까지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의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지낸 응콕송,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의 핵심 참모로 일했던 슬로터 전 실장도 고문단에 끌어들였다. 최근에는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인 호아킴 펠스, 빌 클린턴 전 미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고문을 지낸 스펄링,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스펜스를 초빙하는 등 세계적 거물 보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글러스 호지 핌코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을 통해 “글로벌 고문단을 꾸리는 것은 우리의 투자 전문가들에게 통찰력을 키워 줄 수 있는 외부 전문가를 채용하는 우리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브라운 전 총리를 포함해 이들 글로벌 고문단은 앞으로 핌코 본사와 각국에 있는 핌코 지사에서 회동하고 회사에 국제 경제와 정치 분야의 자문을 하게 된다. 세계 경제를 진단하고 투자 방법을 논의하는 핌코의 연례 대중포럼 ‘세큘러 포럼’에서 연설자로도 활동한다. FT는 핌코의 글로벌 거물급 인사의 고문단 영입이 공동 창업자 빌 그로스가 지난해 야누스캐피털로 자리를 옮긴 뒤 투자자들의 자금 인출로 홍역을 앓았던 핌코가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건재함을 과시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한때 2조 달러(약 2355조원)라는 천문학적 돈을 굴렸던 핌코의 운용 자산은 지난해 그로스와 모하메드 엘 에리안이 각각 CIO직과 CEO직을 떠난 뒤 수익률이 급감하면서 자금이 급속히 이탈하는 바람에 9월 30일 기준 1조 4700억 달러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앞서 5월에는 세계 최대 채권펀드 타이틀도 ‘토털 리턴 펀드’에 내줬다. 그로스는 지난달 4일 부당 해고를 당했다며 핌코와 핌코의 모기업 알리안츠를 상대로 2억 달러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2-0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