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또 ‘말실수’ 논란에 휩쓸렸다. 프란치스코 교황을 ‘가이’로 표현했다. ‘가이’는 남성을 가리켜 ‘녀석’, ‘사내’ 등의 의미로 쓰이며 상황과 맥락에 따라서는 비속어로 ‘놈’이라는 뜻도 갖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오전 라디오와 인터넷 등으로 미 전역에 방송된 주례연설에서 최근 중동·유럽 순방의 일정과 성과를 설명하면서 “바티칸을 방문해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 영광이었다. 그는 정말 멋지다. 대단한 ‘가이’였다(really wonderful-a great guy)”고 말했다. 교황은 전 세계 12억여명 가톨릭 신도의 정신적 지주요 ‘살아 있는 성자(聖者)’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가이’란 호칭은 아주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워싱턴 정가는 이번 일도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에서 빚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이날 연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화자찬 일색이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첫 외국 출장은 역사적이고 전례 없는 성취로 가득 찼다’며 첫 해외 순방의 성과 자랑에 취해서 ‘교황’을 ‘가이’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에 따른 단순한 말실수인 것 같다”고 말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오전 라디오와 인터넷 등으로 미 전역에 방송된 주례연설에서 최근 중동·유럽 순방의 일정과 성과를 설명하면서 “바티칸을 방문해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 영광이었다. 그는 정말 멋지다. 대단한 ‘가이’였다(really wonderful-a great guy)”고 말했다. 교황은 전 세계 12억여명 가톨릭 신도의 정신적 지주요 ‘살아 있는 성자(聖者)’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가이’란 호칭은 아주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워싱턴 정가는 이번 일도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에서 빚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사실 이날 연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자화자찬 일색이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첫 외국 출장은 역사적이고 전례 없는 성취로 가득 찼다’며 첫 해외 순방의 성과 자랑에 취해서 ‘교황’을 ‘가이’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인 성격에 따른 단순한 말실수인 것 같다”고 말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