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수혜… 올해만 54% 급등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워싱턴 DC의 애플스토어.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사우디 아람코 이어 사상 두 번째
애플은 19일(현지시간) 뉴욕 나스닥시장에서 주가가 한때 468.65달러까지 급등하며 시총 2조 달러를 넘어섰다. 다만 급등에 따른 차익매물이 나오며 주가가 소폭 떨어지는 바람에 종가 기준(1조 9790억 달러)으로는 시총 2조 달러에 못 미쳤다. 글로벌 기업으로는 지난해 12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업체 아람코가 장중에 시총 2조 달러 고지를 찍은 데 이어 두 번째다.
애플은 앞서 2018년 8월 시총 1조 달러 고지를 밟았다. 1976년 스티브 잡스가 애플을 창업한 지 42년 만이다. 이후 시총을 2배로 늘리는 데 2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지난달 31일엔 아람코의 시총도 따돌리며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타이틀을 가져갔다. 애플 시총은 미국 소형주들이 모인 러셀2000지수의 전체 시총보다 크고, 미 주요 6대 기업으로 꼽히는 비자, 존슨&존슨, 월마트, 프록터앤드갬블(P&G), 페이팔, 넷플릭스의 시총 합산액도 능가한다.
●앱스토어 등 디지털 사업 강화
애플은 코로나19 대유행의 수혜주로 떠오르며 올 들어서만 주가가 54.1%나 치솟았다. 원격 근무 등 정보기술(IT) 의존도가 한층 높아졌고, ‘애프터 코로나’ 시대 성장 유망 산업은 기술주라는 투자 심리 덕분이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의 과감한 결정도 주목받고 있다. 쿡 CEO는 애플 전체 매출에서 아이폰의 비중을 낮추고 하드웨어 생태계를 확장하는 동시에 앱스토어, 애플뮤직 등 디지털 서비스 사업을 강화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8-2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