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프리뷰] 9년만에 돌아온 록발레 ‘비잉 어게인’

[공연프리뷰] 9년만에 돌아온 록발레 ‘비잉 어게인’

입력 2011-08-29 00:00
수정 2011-08-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찢어진 청바지 무용수들… 그래도 발레다

발레다. 분명 발레다.

그런데 무용수들은 하나같이 찢어진 청바지를 입거나 야구장 치어리더 같은 복장을 하고 있다. 비보잉도 들어가 있다. 3m 높이의 롤러블레이드 코스를 설치해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사람도 등장한다. 플라잉 장치를 활용해 여자 무용수를 공중으로 날려 보내기도 한다. 게다가 배경에 깔리는 것은 고상한 클래식이 아니라 록밴드 음악이다.

이미지 확대
새달 1일 강동아트센터 무대에 오르는 서울발레시어터의 ‘비잉’(Being) 무용수들이 현란한 춤을 주고 있다.
새달 1일 강동아트센터 무대에 오르는 서울발레시어터의 ‘비잉’(Being) 무용수들이 현란한 춤을 주고 있다.
이런 연출이 들어가는 이유는 방황하는 청춘을 다루고 있어서다. 안무가 제임스 전이 자신의 미국 체류 경험을 토대로 연출했다. 이러다 보니 전반적으로 발레라기보다 미국적 느낌의 상업 뮤지컬 분위기다. 서울발레시어터가 9년 만에 서울 상일동 강동아트센터 무대에 올리는 록발레 ‘비잉 어게인’(Being Again) 얘기다.

거의 10년 만에 후속작이 나온 것은 일단 제작비가 만만찮아서다. 1995년 첫선을 보인 ‘비잉Ⅰ’은 앞서 언급한 파격성 등에 힘입어 큰 호응을 얻었다. 1998년 ‘비잉 Ⅰ·Ⅱ·Ⅲ’로 완성돼 2002년까지 공연이 이어졌다. 이후 맥이 끊겼다가 올해 새로 문을 연 강동아트센터가 개관 기념작으로 선정, 제작비 일체를 지원하면서 다시 빛을 보게 됐다. 마이클 잭슨의 ‘데이 돈트 케어 어바웃 어스’(They don´t care about us)와 세라 맥라클런의 ‘엔젤’(Angel) 2곡이 추가됐을 뿐, 기본 골격은 그대로다.

‘42번가’, ‘아가씨와 건달들’, ‘그리스’ 등 미국의 오래된 상업 뮤지컬은 대부분 사회경제적 배경을 깔고 있다. 예컨대 대공황의 추억이다. 어렵고 못살던 시절이었지만 우리의 젊음은 굴하지 않고 거칠게 타올랐다는 것을 표현해 낸다. 여기에 관객들은 환호한다. 우리로 치자면 영화 ‘써니’와 비슷한 느낌이다. 그런데 1980년대 뉴욕 뒷골목을 형상화한 무대와 춤 등으로 가득한 ‘비잉 어게인’이 한국 관객에게도 감흥을 줄 수 있을까. 파격성 자체가 화제였던 1995년이 아닌, 2011년 시점에 말이다. 9월 1~4일. 1만~3만원. (02)3442-2637.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8-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