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1795년 정조의 현륭원(顯隆園) 행차 때의 행사 중 한 장면을 그린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를 비롯한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정조의 현륭원 행자 그림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동국대박물관 소장 봉수당진찬도. 정조가 생부 사도세자 무덤인 현륭원으로 행차했을 때 개최한 행사 중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베푼 잔치 장면을 그렸다. 문화재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정조의 현륭원 행자 그림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한 동국대박물관 소장 봉수당진찬도. 정조가 생부 사도세자 무덤인 현륭원으로 행차했을 때 개최한 행사 중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베푼 잔치 장면을 그렸다. 문화재청 제공
다른 세 건은 1546년(명종 1)에 실시된 증광시(增廣試)라는 과거시험의 문·무과 합격 동기생 5명이 1567년(선조 즉위년) 전라도 광주의 희경루에서 만난 장면을 그린 계회도(契會圖)인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와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그리고 신라시대 불상인 경주 남산 삼화령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이다.
동국대박물관 소장 봉수당진찬도는 정조의 현륭원(顯隆園) 행차 당시 벌어진 주요 행사를 그린 8폭 병풍인 화성능행도병(華城陵幸圖屛) 중 한 폭이다.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잔치이자 가장 중요한 행사였던 진찬례(進饌禮)를 그린 것이다.
문화재청은 이 능행도 병풍이 “조선시대 궁중행사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서, 양식적 특징은 물론 제도적인 면에서도 후대에 미친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보물 지정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이 그림은 1970년대 재일교포가 동국대에 기증한 작품으로, 비록 낱폭이지만 작품성은 그 어떤 8폭 병풍이나 다른 낱폭보다 압도적으로 뛰어나다고 평가된다.
작품 상태도 양호하고 화면 구성이나 원근법 사용방식 등에서 18세기 말~19세기 초 궁중기록화 양식을 잘 보여준다.
같은 동국대박물관 소장품인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는 과거 합격자 동기 모임인 방회(榜會)를 한 기념으로 제작한 그림으로, 1531년 시행된 신묘생진시(辛卯生進試)의 합격 동기생들이 1542년에 만나 제작한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와 함께 현재까지 전하는 16세기 방회도 2점 중 하나다.
인물을 묘사한 필치가 매우 생기 있고 활달하며 자신감이 넘친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비슷한 자세의 인물을 같은 모양으로 판에 박은 듯 반복해서 그리는 형식적인 면이 적으며, 희경루 건물 묘사에서도 보이는 대로 그린 듯한 꾸밈없는 필치를 엿볼 수 있다고 평가됐다.
광개토대왕명 호우는 1946년 경주 은령총(銀鈴塚)과 함께 그 인근에서 발굴한 호우총(140호 고분·노서동 213번지) 출토 그릇으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고구려 장수왕 재위 3년인 415년 제작한 청동 유개합(有蓋盒·뚜껑 갖춤 그릇)으로, 고구려가 아닌 신라 고분에서 출토돼 두 나라 역사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남산 삼화령 석조미륵여래삼존상은 삼국유사에 조성 내력이 보인다. 이에 의하면 644년(선덕여왕 13)에 도중사(道中寺)의 생의(生義) 스님이 꿈속에서 어떤 스님이 자신을 꺼내어 안치해 달라는 말을 듣고, 남산 북봉을 찾아 삼존상을 발굴해 삼화령(三花嶺)에 봉안했다고 한다.
이 불상은 신라 경덕왕 때 승려 충담사(忠談師)가 중삼중구절(重三重九節·3월3일과 9월9일)에 차를 공양했다는 삼화령 미륵세존으로 생각된다. 만든 시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고신라 불교조각의 기준작이 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