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포크록의 효시’ 한대수 데뷔 40주년 기념 음반발매 & 25~26일 콘서트
미국 뉴욕의 뒷골목을 누비다 귀국해 1968년 음악감상실 쎄시봉에서 자작곡을 부르기 시작한 스무 살 청년 한대수는 치렁치렁한 머리와 포효하는 창법 탓에 ‘기인’ 취급을 받았다. 1974년 발표한 1집 앨범 ‘멀고 먼 길’은 괴이하게 일그러진 표정을 대문짝만하게 실은 앨범 커버부터 ‘문제적’이었다. 그는 편견으로 자신을 바라봤던 세상을 향해 “목 마르요 물 좀 주소”라 외쳤다. 암울한 현실에 굴하지 않고 줄기차게 자유를 외쳐 온 그는 ‘한국 포크록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LG아트센터 제공
한대수
LG아트센터 제공
LG아트센터 제공
●손무현·강산에 등 후배 뮤지션과 기념앨범 작업 ‘의기투합’
‘포크록의 대부’ 한대수(67)가 올해로 데뷔 40주년을 맞는다. ‘한국 최초의 히피’는 어느덧 ‘로큰롤 할배’가 됐다. 이 ‘할배’를 향한 후배 뮤지션들의 존경심은 뜨겁다. 그의 데뷔 40주년을 기념해 손무현을 필두로 전인권, 강산에, 김도균, 신대철, 윤도현, 이상은, 장기하 등이 의기투합해 헌정앨범 ‘한대수 리버스(Rebirth)’를 발표한다. 또 오는 25~26일 서울 강남구 LG아트센터에서 트리뷰트(헌정) 콘서트 ‘한대수 리버스(Beverse/Bebirth)를 연다. 지난 1일에는 음악 인생 40년을 돌아보는 책 ‘한대수 더 북’도 출간됐다.
지난 8일 LG아트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나타난 그의 목소리는 여전히 걸걸하고 우렁찼다. 손무현, 강산에 등 후배 뮤지션은 물론 부인과 딸 양호(8)에 둘러싸인 그의 얼굴에는 웃음이 가득했다. “내가 올해로 68세인데, 내 나이와 비슷한 로커들이 많이 죽었더라고요. 죽기 전에 카네기홀에서 공연 한번 해야죠. 허허.”
트리뷰트 앨범은 시작부터 특별했다. CBS 라디오 프로그램 ‘라디오 3.0’에서 그의 데뷔 40주년을 기념하는 음반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기획한 게 출발이었다. 2014년 5월 시작한 프로젝트는 아티스트 섭외와 마케팅, 디자인 등에 청취자가 참여했으며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제작비를 모았다. 손무현은 무보수로 프로듀싱을 맡았고 후배 뮤지션들은 기꺼이 녹음실로 달려왔다. “최근 10년 동안 대중음악 시스템이 기획자를 통해 방송국과의 관계 속에 음악이 발표되는 식이었습니다. 록이나 포크 앨범이 이렇게 제대로 제작비를 들이고 나오는 건 우리나라에서 기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로 68세… 죽기 전에 카네기홀서 공연 한번 해야죠”
YB와 함께한 ‘행복의 나라’는 윤도현의 수더분한 목소리와 한대수의 시원한 목소리가 한데 겹치고, 이현도가 참여한 ‘물 좀 주소’는 힙합과 전자음의 옷을 입었다. 전인권은 ‘자유의 길’을 부르며 한대수의 곡을 자기 옷처럼 입었다. 후배 뮤지션들과 그의 팬들은 ‘하루 아침’에서 아름다운 하모니로 존경의 뜻을 표한다.
‘나는 졌소’와 ‘마이 러브’는 이번 앨범을 통해 공개되는 신곡이다. ‘마이 러브’는 그가 고등학교 시절 노트를 뒤지다 녹음을 하지 않은 곡을 찾아낸 것이다. ‘나는 졌소’는 한대수식(式) 시대유감을 담은 블루스곡이다. “전쟁과 테러부터 시작해 아이 혼자 유치원도 보내지 못하는 세상이죠. 이성을 잃은 시대에서 우린 모두 패배자라고, 실패를 받아들이고 다시 일어서자는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그는 이번 콘서트가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연습을 하면서 육체적인 한계가 오고 있다”는 그는 그러면서도 “하는 데까지는 계속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목소리에는 여전히 힘이 넘쳤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4-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