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으로 빚은 내면

붓으로 빚은 내면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6-22 23:36
수정 2015-06-23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비운의 천재 화가 모딜리아니 첫 회고전

타원형의 길쭉한 얼굴, 동공이 없는 아몬드 모양의 눈, 가늘고 뾰족한 코와 작은 입, 긴 목과 부드럽게 늘어진 어깨선. 웬만큼 예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느 화가의 그림인지 쉽게 답할 수 있다. 서른다섯의 짧은 삶을 살면서 독창적인 화풍으로 수많은 인물화를 남긴 아메데오 모딜리아니(1884~1920). 비운의 천재 화가 모딜리아니의 삶과 예술 세계를 조명하는 국내 첫 회고전이 오는 26일부터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미지 확대
모딜리아니의 작품 ‘젊은 여인의 초상’(1919).  모딜리아니 전시본부 제공.
모딜리아니의 작품 ‘젊은 여인의 초상’(1919).
모딜리아니 전시본부 제공.
후기 인상파에 이어 나타난 야수파와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활약하던 20세기 초에 활동한 모딜리아니는 특별히 어떤 화파에 속하지 않는 독특한 화풍을 구사했다. 후대의 미술사가들은 그가 작업실을 두고 주로 활동했던 지역의 이름을 따 ‘몽파르나스의 전설’이라고 부른다. 이번 전시의 부제다.

이탈리아 토스카나주의 해안 도시 리보르노에서 태어난 모딜리아니는 22세였던 1906년 파리로 옮기면서 본격적인 예술가의 길을 걷는다. 파블로 피카소, 모이즈 키슬링, 섕 수틴 등의 당대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고대 조각과 아프리카 원시 조각 등에 매료돼 한때 조각에 몰두했던 그는 비싼 재료비를 감당할 수 없어 1914년 다시 붓을 잡는다. 원시 조각의 인물처럼 길게 늘어진 타원형의 얼굴, 기다란 직선의 코, 좁은 턱, 작게 다문 입의 형태로 자신만의 독특한 회화 양식을 발전시켜 나간 모딜리아니는 1917년 생애 첫 개인전을 열지만 전면에 전시된 누드화가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철거 명령을 받아 작가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마저 놓치고 만다. 어려서부터 병약했던 모딜리아니는 1920년 결핵으로 인한 뇌수막염으로 35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다.

모딜리아니의 일관된 소재는 인물이다. 무명 화가로 근근이 살아가던 그에게 유일한 생계 수단이 되기도 했지만 모델들과의 교감을 중시하며 내면적 특징을 표현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예술사가들은 추정한다. 모딜리아니는 직업 화가로 활동한 14년 동안 400점에 가까운 인물화를 남겼다. 화가, 조각가, 시인, 소설가, 기자, 의사, 미술품 수집가 등 20세기 초 파리 문화예술계 인물들이 천재의 붓으로 영원한 생명을 얻었다.

이번 전시에는 파리 시립미술관과 피카소미술관, 이스라엘 미술관, 멜버른 빅토리아국립미술관 등 20여곳의 공공미술관과 개인 소장 20여곳에서 대여한 모딜리아니의 유화, 드로잉 작품 70여점이 선을 보인다. 전시는 10월 4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6-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