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여선 15년만의 새 장편 ‘레가토’
현재는 새로운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 속에서 현재는 과거와 동떨어진 것이 아닌, 어떤 부분에서든 연결고리를 공유한다. 그 연결고리가 어떻게 이어지고 겹쳐지면서 독특한 무늬가 되는지 작가 권여선(47)은 15년 만에 내놓은 장편소설 ‘레가토’(창비 펴냄)에서 그 결을 찾았다. 음과 음 사이를 끊지 말고 이어서 연주하라는 음악용어를 제목으로 쓴 것은 “과거의 흔적과 현재의 시간이 겹쳐 뭔가를 만들어 내는 레가토 독법으로 소설이 읽히기를 바란다.”는 작가의 소망이기도 하다.소설은 푸른 빛깔의 화려한 연회장에서 시작한다. 이곳에서 만난 박인하 의원과 신진태 사장, 조준환 보좌관은 같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 언제 사복 경찰을 맞닥뜨릴지 모르는 서슬 퍼런 대학 시절의 기억이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980년 5·18 광주항쟁 당시 광주 금남로에서 시위대와 진압 병력이 대치하고 있다. 작가는 1970~80년대 대학 운동권 풍경과 현재를 적절히 섞어 내는 방식으로 30년을 잇는 청춘의 이야기를 그렸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30년 전. 학기 초 첫 ‘피쎄일’(유인물 배포)을 시작으로 여름 농활과 합숙, 가을 첫 시위 등을 거치며 학내 서클 ‘전통연구회’의 신입생 준환과 진태, 재현은 운동권 대학생이 되고 있다. 2년 선배인 인하는 이 모임의 회장이다. 이들이 서로에게 말하지 못한 비밀 속에는 준환과 진태의 동기, 어느날 사라져 버린 오정연이 있다. 인하는 피쎄일 다음 날 정연에게 가한 폭력을 죄책감으로 품고 있다. 준환은 정연을 향한 흠모와 인하에 대한 열등감을 떨쳐 내지 못한다. 다른 인물들 역시 정연에 대한 각자의 기억과 방식으로 살아간다. 30년 후 인하는 정치인이 됐고, 신입생들은 의원 보좌관, 출판기획사 사장, 국문학과 교수가 돼 있다. 정연의 동생 하연이 재현을 찾아오면서 공백이 하나둘 메워진다.
●광주민주화운동 등 70~80년대 생생하게 그려
소설은 과거와 현재를 번갈아 오가며 인물의 기억을 꿰맞춘다. 인하가 하연을 처음 만난 날 하연은 흑백 줄무늬 셔츠에 하얀색 치마를 입었다. 사람들이 기억하는 정연의 마지막 모습은 가로줄무늬 셔츠에 흰 바지 차림이다. 정연이 입에 물던 담배 ‘한산도‘는 ‘레종 블랙’으로 바뀌어 하연 입에 물려 있다. 인하는 야학 학생 순구의 군입대 소식을 전해 들으며 얼굴 화상 자국 때문에 그가 ‘딘둥이’라고 놀림당했다며 울먹거리던 것을 떠올린다. 화상 자국은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정연을 패던 군인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런 이음새가 퍼즐을 끼워 맞추는 쾌감으로 작용한다. 무엇보다도 1970년대 말부터 1980년까지 대학 운동권 서클과 5월 광주 민주화운동의 모습이 생생하게, 또 처연하게 살아 있어 소설에 활력과 긴장감이 더욱 잘 묻어난다. 83학번인 작가가 어떻게 앞선 시대에 표현할 수 있었는지 묻자 “시대가 아주 다르지만은 않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불과 몇 년 차이이고, 광주에 대한 이야기는 80년대 초반 학번에게는 멀지 않은 얘기”라면서 “언젠가는 한 번 다루고 싶었지만 정면으로 조명할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사람 사는 이야기 속에 풀어 냈다.”고 했다.
“모든 세대, 어느 학번에나 크고 작은 비극이 있을 겁니다. 그 기억은 청춘을 지나 나중까지 잠복해 있다가 터져 나올 때, 그에 대한 반응은 아마 다 다르겠죠. 그런 기억의 서사를 다뤄 보고 싶었습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5-1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