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카프카’ 죽음을 탐구하다

‘이란의 카프카’ 죽음을 탐구하다

입력 2013-06-01 00:00
수정 2013-06-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눈먼 부엉이/사데크 헤다야트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1951년 4월 4일, 당시 48세이던 이란의 소설가 사데크 헤다야트는 프랑스 파리의 셋방에서 가스를 틀어놓고 자살했다. 지갑에는 장례 비용 10만 프랑이 들어 있었다. 유서는 없었다. 쓰고 있던 원고는 죽기 직전 찢어 쓰레기통에 던져 넣었다. 파리의 마른 강에 몸을 던져 첫번째 자살을 시도한 지 24년 만이었다.

헤다야트는 죽음에 매혹된 작가였다. 테헤란에서 태어나 유럽에서 공부한 그는 릴케의 시를 탐독하며 죽음에 빠져들었다. 죽음은 실존의 문제였다. 신조차 죽음 앞에서는 무의미했다. 헤다야트는 작품 속 화자의 입을 빌려 말했다. “죽음의 문제에 비하면 종교나 신앙, 신념 등은 너무도 허약하고 유치한 집착이다.” “죽음, 죽음이여…너는 어디에 있는가?”

문학과지성사가 ‘눈먼 부엉이’로, 연금술사가 ‘눈먼 올빼미’란 제목으로 나란히 펴낸 이 소설은 죽음에 대한 탐구서다. 서사는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만큼 단순하며 파편처럼 흩어져 있다. 주인공은 필통 뚜껑에 그림을 그리는 화가다. 어느 날 자신이 ‘창녀’라 부르는 아내를 칼로 살해한다. 술과 아편에 취해 환영을 본다.

서사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죽음에 대한 무수한 심상과 환영들이다. 밤과 잠, 망각, 꿈의 이미지들이 끊임없이 교차한다. 죽음은 “삶의 심연에서 우리를 건져내서 자신의 품에 거두어주는 존재”이며, 화자는 “망각의 잠 속으로 완전히 빠져들기를” 갈망한다. 삶은 고통이다. “세계는 텅 빈 슬픔의 집”이며 “삶은 부자연스럽고, 불가해하며, 비현실적”이다. 환영들을 그림으로 옮기는 화자의 독백은 마치 죽음의 풍경을 글로 적는 헤다야트 자신 같다. “이 삶에서 떨어져 나가기 전에 (중략) 마치 종양처럼, 조금씩 내 영혼을 파먹어 들어가던 고통을 종이에 옮겨놓고 싶다.”

헤다야트는 초현실주의적인 언어로 실존의 부조리를 다뤄 ‘이란의 카프카’라는 평을 듣는다.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며 죽음의 심연을 탐구한 이 책은 풍속을 해치는 데다 잔혹하다는 이유로 이란에서는 금서로 지정됐다. 2006년에는 이란 정부가 헤다야트의 모든 작품 출판권을 몰수했다. 문학과지성사 1만 2000원, 연금술사 1만 3800원.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6-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