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공간 속 교차하는 전쟁, 그리고 사랑

우주공간 속 교차하는 전쟁, 그리고 사랑

입력 2013-07-26 00:00
수정 2013-07-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F작가 배명훈 소설 ‘청혼’

북극성은 지구로부터 약 800광년 떨어져 있다. 북극성을 출발한 별빛은 800년 동안 어둡고 광막한 우주를 날아 마침내 지구에 닿는다. 우리가 만약 북극성에 빛의 속도로 어떤 신호를 보낸다 해도 그것은 800년 뒤에나 도착할 것이다. 어쩌면 이미 사라져 버렸거나 자리를 비켜섰을 수도 있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도, 이 드넓은 우주에서 기적처럼 만난 두 사람의 마음도 실은 별과 별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게 아닐까.

이미지 확대
배명훈의 소설 ‘청혼’(문예중앙)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한다. 우주에서 나고 자란 ‘나’는 지구에 있는 여자와 사랑에 빠진다. 우주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적이 출현한다. 함대의 작전 장교인 ‘나’는 광활한 우주 한편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적 함대를 추격한다.

상대의 위치를 찾고, 조준하고, 숨고, 관찰하는 과정은 사랑의 행로들과 묘하게 얽힌다. ‘나’와 적 함대, ‘나’와 애인 사이에는 우주적인 ‘밀당’(밀고 당기기)이 벌어진다. ‘나’는 애인에게 긴 편지를 쓴다.

‘네가 사랑한다고 말할 때 단 한 순간도 망설임 없이 대답해줘도 너에게 닿는 데 17분 44초가 걸리고, 또 거기에 대한 너의 대답이 돌아오는 데 17분 44초가 더 걸리는 지금의 이 거리를 두고 내가 가장 숨 막히는 게 뭔지 아니? 그건 대답이 돌아오기 전까지의 그 짧은 시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는 데서 오는 갑갑함이야.’(58쪽)

‘청혼’은 우주 전쟁의 외피를 쓴 사랑 이야기인 동시에 연서(戀書)의 형식을 빌린 장르문학이다.

지구에는 지표면연합이라는 정부가 차려지고, 이들은 궤도연합군이라는 합동 군사기구를 만든다. 함대는 빛으로 된 무기로 서로를 공격하며 행성의 파편들 사이로 몸을 숨긴다.

천체물리학과 군사학 서적을 탐독해 온 작가는 2006년 완성한 단편을 세밀하게 다듬어 중편으로 개작했다.

독립적인 작품이지만 단편 ‘타이베이 디스크’나 ‘발자국’ ‘매뉴얼’ 등과 느슨하게 얽히며 일종의 ‘궤도연합군 시리즈’를 이룬다. 텍스트가 쌓이면서 배명훈이라는 우주가 조금씩 팽창하고 있는 셈이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7-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