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일의 어린이 책] 칠공주 막내를 이웃 왕자와 바꾼다는데…

[이 주일의 어린이 책] 칠공주 막내를 이웃 왕자와 바꾼다는데…

입력 2013-11-02 00:00
수정 2013-11-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엄마가 일곱째를 낳았어요/김여운 지음/이수진 그림/샘터/116쪽/1만원





이번엔 아들일 거라 믿었다. 태몽도 용꿈이었고 왼쪽으로 기우는 엄마의 걸음걸이도 딱 그랬다. 아빠는 팔뚝만 한 가물치까지 사들고 들어오는 길이었다. 하지만 집 안에는 적막과 한숨만 감돈다. 쪽마루 밑의 바둑이마저 근심 가득한 얼굴이다.

그렇다. 세 살부터 열다섯 살까지 내리 딸만 여섯인 ‘딸부자 인쇄소집’에 또 딸이 태어난 것이다. 갓 태어난 아가도 눈치를 챈 듯 힘없이 운다. 전지적 작가 시점의 화자는 그런 아기를 쓰다듬듯 말한다.

‘그럴 수밖에 없을 거예요. 누구라도 이 세상에 내려왔는데 모두들 껄끄러운 표정을 하고 있다면 기운이 없어질 거예요.’

어두운 집안 분위기에 잔뜩 주눅 들어 있던 자매들이 똘똘 뭉칠 ‘사건’이 터진다. 막내를 강 건넛마을 아들만 일곱인 집 막내와 바꾸자는 말이 어른들 사이에 오고간 것이다. 아기 잇몸에 밥풀 같은 하얀 이가 돋아나는 것도 볼 수 없다니. 언니들은 막내를 지키기 위한 묘안 짜내기에 골몰한다. 견고한 어른들의 세계에 정면으로 부딪치려는 언니들의 고군분투는 성공할 수 있을까.

딸 일곱에 아들 하나인 집에서 태어난 작가는 운율을 살린 고운 입말로 상냥하게 독자를 이끈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궁금증을 잃지 않게 한다. 대가족이 오글오글 모여드는 한옥의 뜨끈한 아랫목과 동네에서 유일하게 텔레비전이 있는 금은방집에 연속극을 보러 몰려가는 동네 사람들 등 소박하지만 정겨운 1970년대의 풍경과 정서가 아련하게 향수를 자극한다. 차분한 동양화의 필치는 연두빛 잎새처럼 여리고 천진한 아이들의 움직임과 사람 냄새 나는 살림살이를 소담스레 담아냈다. 초등 저학년 이상.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11-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