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어린이 책] 아이 눈에 비친 ‘내가 모르는 보물’

[이주의 어린이 책] 아이 눈에 비친 ‘내가 모르는 보물’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8-25 17:40
수정 2017-08-25 1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숲에서 보낸 마법 같은 하루/베아트리체 알레마냐 지음/이세진 옮김/창비/48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아이에게 활기란 잃어버린 단어가 됐습니다. 엄마와는 속내를 터놓지 않은 지 오래됐고요. 여름방학 동안 머무를 시골집은 ‘세상의 모든 따분함을 모아놓은 곳’ 같습니다. 그저 묵묵한 걸음으로 엄마의 뒤를 따를 뿐이고요. 일에 바쁜 엄마 뒤에 누워 애꿎은 화성인들만 죽일 뿐이지요. 그마저도 게임기를 빼앗아 가는 엄마의 성화에 관두고 맙니다.

아이에겐 남은 선택지가 없습니다. 세상의 무기력이란 무기력은 다 끌어모은 듯한 표정으로 집 밖을 나설 수밖에요. 숲은 아이의 마음처럼 어둡고 침울합니다. 그때 거센 빗속에서도 젤리처럼 몰랑한 더듬이를 쉴 새 없이 뻗어내는 달팽이가 아이의 호기심을 건드립니다. “여기 뭐 볼 거 있을까?”란 조심스러운 물음에 확신을 더하죠. “그럼, 있고말고.”

아이는 비에 젖은 땅을 움켜쥡니다. 땅속에 씨앗, 뿌리, 열매 등 ‘내가 모르는 보물’들이 가득하다는 걸 알게 되죠. 먹구름을 뚫고 쏟아지는 햇살에 심장 박동은 커지고요.

아빠의 부재 이후 즐거움을 느끼는 감각도 엄마와의 교감도 잃어버린 아이에게 숲에서의 하루는 큰 걸음입니다. ‘아빠가 찾아내 주던 세상’에만 머무르다 ‘스스로 발견하는 세상’의 낯선 찬연함을 알게 됐으니까요. 왜 몰랐을까요. 조약돌 하나만 눈에 대봐도 빛나는 세상이 비친다는 것을요. 매번 뻔해 보이는 주변을 조금 다르게 느껴 보는 것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될는지 모릅니다. 4세 이상.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