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 墨香으로 피어나다

매화… 墨香으로 피어나다

입력 2011-02-11 00:00
수정 2011-02-11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봉선 ‘묵매화전-문매소식’

입춘도 지났으니 봄을 알리는 매화를 감상할 법도 하다. 마침 27일까지 서울 인사동 공아트스페이스에서 문봉선(50·홍익대 교수)의 ‘묵매화전- 문매소식(問梅消息)’이 열린다.

먹으로 작업하는 그림임에도 한지 대신 캔버스 원단 천을 써서 줄기와 가지의 거친 느낌을 일필휘지하듯 냈고, 먹이 주된 재료이지만 꽃만큼은 서양화에 쓰이는 과슈(불투명 수채 물감)로 색깔을 줬다. 멀리서 봤을 때 유독 꽃만 눈에 확 띄는 매화의 특성을 살린 것이다.

이미지 확대
2008년작 ‘매화’.
2008년작 ‘매화’.


사진을 찍어 와 참조하는 방식 대신 화첩을 끼고 다니며 먹으로 밑그림을 그려 오는 전통 방식을 썼다. 덕분에 함께 전시된 화첩을 통해 처음 매화나무를 대하고 형성된 작가의 심상이 큰 그림으로 어떻게 옮겨졌는지 따라가 볼 수 있다.

작가는 1990년 전남 순천 승주읍의 매화나무 사진을 보고 매화에 ‘꽂혀’ 지금껏 작업해 왔다. 좋은 매화가 있다면 선운사뿐 아니라 김해농고, 지리산 단속사, 화엄사 구충암 등을 샅샅이 훑고 다녔다. 중국 난징의 매화산에 칩거하기도 하고, 일본 오사카성 매원과 후쿠오카의 신사 등도 수차례 방문했다.

이렇게 매화 하나 쫓아 20여년간 돌아다닌 작가의 심정은 어땠을까. “매화 속에 둘러싸여서도 그리고픈 매화를 찾지 못하거나 딱 맞는 매화를 찾았음에도 잘 그려지지 않을 때면 한자리에서 며칠을 하염없이 울기도 했다.”는 그의 대답은 중국 청나라 화가 이방응이 남겼다는 시 한 구절이다.

‘이리저리 천만송이 눈에 띄지만(觸目橫斜千萬朶) 마음에 드는 것은 두세 가지뿐(賞心只有兩三枝)’ (02)730-1144.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2-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