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전 총장은 1920년 10월 서울에서 태어나 1948년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2기로 임관했다. 이후 공군 제1훈련비행단장,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 공군대학교장, 공군참모차장,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이미지 확대
장성환 前공참총장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장성환 前공참총장 연합뉴스
고인은 1950년 7월 3일 북한군의 공세에 속수무책으로 밀리던 국군을 엄호하기 위해 미국에서 인수한 F51전투기를 몰고 출격했던 10명의 조종사 중 한 명이다. 공군은 고인을 포함한 10인의 첫 출격일을 기념해 2008년부터 매년 7월 3일을 ‘조종사의 날’로 지정해 희생정신을 기리고 있다.
고인은 1962년 8월부터 1964년 8월까지 참모총장으로 재임하면서 방공망 증강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제30방공관제단(현 방공관제사령부)을 창설하는 등 군 전력증강 및 현대화에 기여했다. 국내 최초로 대규모의 공군 장비와 인력이 동원된 영화 ‘빨간 마후라’(1964년) 제작을 지원해 공군의 활동상을 대중에 알리기도 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태곤(포앰비 회장)·영곤씨 등이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