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공감의 팀워크…감정적 가치 초점 맞춰야

의사소통·공감의 팀워크…감정적 가치 초점 맞춰야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10-27 20:54
수정 2021-10-28 0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 MZ세대가 바꾸는 기업문화

코로나19와 MZ세대의 등장은 그간 지시와 복종 중심이었던 관료주의적인 기업문화를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7일 ‘2021 서울미래컨퍼런스(SFC)’ 마지막 순서 ‘SFC 토크(TALK)’에서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는 ‘MZ세대가 만든 기업문화: 도발인가, 대안인가’라는 제목의 강연에서 “코로나와 MZ세대의 등장 이후 조직의 꼭대기에서 거만한 지도자에 의해 통제되는 관료주의가 아닌, 의사소통과 공감에 기반한 팀워크가 중요한 시대가 됐다”고 주장했다.

MZ세대는 1980~1994년생을 의미하는 ‘밀레니얼 세대’와 1995~2009년 출생한 ‘Z세대’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김 교수는 밀레니얼 세대를 ‘선진국에서 태어나 후진국 생활을 하는 가장 똑똑한 세대’로, Z세대는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환경적 가치 등 거대담론과 친화한 세대’라고 정의했다.

김 교수는 이들을 얼마나 잘 포용하는지가 경영의 성과를 좌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MZ세대가 일하고 싶은 기업은 ‘직원들의 경험을 잘 관리해 주는 곳’이라고 덧붙였다. 직원을 ‘인적자원’, 즉 소모품으로 바라보고 관리하는 게 아니라 이들의 성장이나 행복 등 감정적 가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MZ세대에게는 개인의 삶이 일이나 직장보다 우선시되는 경향이 있다”면서 “높은 연봉만으로 인재를 유치할 수 있다는 생각은 안일하다. 긍정적인 체험을 하게 하는 조직문화와 직장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이 맡은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려면 그들이 수행하는 일에서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2021-10-28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