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움직임
천안함이 침몰한 지 만 48시간도 안돼 청와대에서 긴급 안보관계 장관회의가 네 차례나 열리고, 국무총리와 여당 대표가 28일 사고 현장을 방문하는 등 청와대와 정부, 정치권은 긴박하게 움직였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착잡한 정총리
정운찬(왼쪽 두번째) 국무총리가 28일 주호영(오른쪽) 특임장관 등과 함께 백령도 해병부대를 방문해 천안함 침몰 현장 주변을 바라보며 김성찬 해군 참모총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청와대는 모든 직원이 비상대기 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사고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에 힘을 쏟았다. 특히 외교안보수석실은 국방부, 통일부, 외교통상부 등으로부터 시시각각 올라오는 보고를 점검하면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느라 24시간 초긴장 상태를 이어갔다.
이명박 대통령은 오전 11시부터 2시간15분 동안 청와대 본관에서 네 번째 안보관계 장관회의를 소집, 현장 상황을 보고 받고 대책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사고가 난 26일 밤부터 김태영 국방부 장관과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등 참모들로부터 현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보고 받고 있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실종자들이 살아 있다는 믿음을 갖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달라.’는 게 이 대통령이 안보관계 장관회의에서 가장 강조한 얘기”라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정운찬 총리 주재로 오전에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번 참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정 총리는 “공직자들이 중심을 잡고 한 치의 흔들림 없이 국정을 수행해 나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각 부 장관들이 공직자들의 근무태도를 각별히 챙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오후에 백령도를 방문, 실종자 가족들을 만나 위로했다.
☞해군 천안함 침몰…긴박한 사고 및 수색현장
외교통상부와 통일부도 비상근무 체제를 유지하며 상황을 살폈다. 유명환 외교부 장관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이 대통령이 주재한 안보관계 장관회의와 정 총리 주재의 관계장관 회의에 잇따라 참석했다. 외교부는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자회담 관련국들에게 천안함 침몰사고 관련 상황을 설명하며 긴밀한 공조체제를 유지했다. 통일부도 엄종식 차관을 비롯한 주요 간부들이 27일부터 사무실에 출근, 비상 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정치권도 분주했다. 한나라당은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이번 사건이 끝날 때까지 24시간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정몽준 대표는 회의 직후 경기 평택시 해군 2함대사령부를 방문해 실종자 가족을 위로했다. 조해진 대변인은 “섣부른 예단이 난무하면 국민에게 염려를 끼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사고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추측을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야당은 진상 규명 촉구에 초점을 맞췄다. 민주당은 당내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저녁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가 안보관계장관회의를 네 차례나 했는데도 아직까지 국민의 안보태세에 대한 우려를 해소시킬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 데 대해 매우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도 국회에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김성수 주현진 김정은기자
sskim@seoul.co.kr
2010-03-2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