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1일 “최근 일부 유럽 국가의 재정위기가 실물경제 위기로 전이되고 있어 세계 모든 나라가 걱정을 하고 있다.”면서 “이런 때일수록 자유교역 확대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필리핀을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왼쪽) 대통령이 21일 마닐라 말라카냥궁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베니그노 아키노 대통령과 건배하고 있다. 마닐라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필리핀을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왼쪽) 대통령이 21일 마닐라 말라카냥궁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베니그노 아키노 대통령과 건배하고 있다. 마닐라 연합뉴스
필리핀을 국빈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마닐라호텔에서 열린 ‘한·필리핀 비즈니스포럼’에 참석, 오찬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포럼에는 베니그노 아키노 대통령을 비롯하여 양국 경제인 등 250여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위기가 왔을 때, 이를 극복하는 데 자유무역이 중요하다는 것을 세계가 깨닫게 되었다.”면서 “이번에도 똑같은 위기 속에서 자유무역은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세계 3대 경제권인 미국, 유럽연합(EU), 아세안과 모두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나라로,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1%에 이르는 영역을 자유롭게 넘나들게 됐다.”면서 “필리핀 기업인 여러분은 자유무역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 한국과 더 좋은 기회를 만들어 나가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마닐라 말라카냥궁에서 아키노 대통령과 단독·확대 정상회담을 잇달아 갖고 필리핀이 중점 추진하고 있는 ‘국가개발계획(2011∼2016)’에 한국이 유·무상 원조를 포함한 경제지원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올해부터 3년간 필리핀의 사회기반시설 구축을 비롯한 민관협력사업(PPP)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공적개발원조(ODA) 프로그램으로 5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 같은 지원액은 2007∼2009년 미국이 EDCF 사업으로 필리핀에 지원한 3억 달러보다 큰 규모다.
정상회담 직후 양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양국 관계장관들은 ▲EDCF 및 무상원조 기본협정 ▲농복합산업단지(MIC) 사업 양해각서(MOU) ▲수비크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 협력 MOU ▲할라우강 다목적댐 건설 협력 MOU 등 5개 문서에 서명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1-11-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