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통위·국방위 정부 답변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13일 장성택 전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처형과 관련, “대남 국지도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 긴급 현안질의에서 “북한 군부 강경파의 입지가 강화될 경우 (김정은에 대한) 충성 경쟁이 벌어져 의사 결정에서 오판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이번 사태는 김정은의 유일 지배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권력 재편, 철권·공포정치의 일환으로 생각된다”면서 “김정은 체제를 위협하는 세력들에게 ‘함부로 준동하지 말라’며 체제를 결속하기 위한 신호”라는 주장에도 “동의한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또 “북한 내부 양상에 대해 한국과 미국이 함께 예의주시하는 한편, 군사 동향도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북한군은 동계훈련 중이며 특이 동향을 보이고 있지 않고 있어 워치콘이나 또 다른 경계 등급 상향 조치는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장관은 “김정은이 군부를 모두 장악하고 있다고 평가한다”면서도 장성택 처형에 대해선 “군부 주도로 보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장성택 처형 사실은 “이날 아침에 입수했다”고 밝혔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도 이날 긴급 소집된 국회 외교통일위에 출석해 장성택 처형 이후 북한의 도발 시나리오 중 하나로 제기되는 제4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북한은 통상적으로 내부가 불안하면 외부에 대한 도발을 통해 내부를 단속한 적이 과거에 많았다”면서 “그럴 가능성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 장관은 또 “장성택에 대한 처리 과정을 보면 북한 역사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발견하기 쉽지 않은 일이며, 신속하게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진단했다. 장성택의 해외주재 측근 등의 망명 가능성에 대해서는 “사태를 잘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12-1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