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수교 50년] 주한 일본대사관에선… 朴대통령 “무신불립… 양국 새 꿈꿔야”

[한일 수교 50년] 주한 일본대사관에선… 朴대통령 “무신불립… 양국 새 꿈꿔야”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15-06-23 00:00
수정 2015-06-23 0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65년 조약 비준 당시 한글병풍 공개

주한 일본대사관이 22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주최한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이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해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국내외 주요 인사 700여명이 참석하는 등 성황리에 열렸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 뒤에는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가 따르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 대통령 뒤에는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가 따르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주일대사를 지낸 이병기 비서실장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문승현 외교비서관 등 청와대 외교안보라인이 총출동했다. 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서청원 한·일의원연맹 회장,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 등 정치권과 원로 인사들도 모습을 보였다.

박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무신불립(無信不立)이라는 말처럼 양국 국민 간의 신뢰와 우의를 쌓아가며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양국 국민의 신의가 보다 깊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양국이 취해 나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한 사람의 꿈은 꿈에 불과하지만 만인의 꿈은 현실이 된다는 말이 있다”면서 “1965년 시작된 화해의 여정을 지속하고 양국 국민이 한·일 관계의 새로운 미래에 대한 꿈을 꿀 수 있도록 길을 함께 만들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일본 측에서는 아베 신조 총리의 특사로 일·한의원연맹 회장인 누카가 후쿠시로 의원이 아베 총리의 메시지를 대독했다.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도 모습을 보였다.

공식 리셉션에 앞서 열린 행사에서는 양국의 내일을 상징하는 서울일본인학교 어린이들과 서울소년소녀합창단이 동요 ‘고향의 봄’ 등 5곡을 한국어와 일본어 가사로 함께 불렀다.

행사장에는 또 1965년 12월 서울에서 열린 한·일기본조약 비준 당시 사용됐던 한글 병풍이 연단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송강 정철의 가사 작품 ‘성산별곡’을 한글로 쓴 이 병풍은 주일 한국대사관과 주한 일본대사관이 반씩 나눠 보관해 왔으며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서도 사용됐다.

일본의 전통 풍습으로 운이 트이고 앞길이 열리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술독의 뚜껑을 깨는 ‘가가미비라키’ 퍼포먼스가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동선과 시간 등의 문제로 진행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6-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