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자금 관리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이고자 올해 12월부터 시 및 25개 자치구에 분산 운영중인 2천629개 계좌를 기관별 1개의 ‘슈퍼계좌’로 통합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슈퍼계좌’는 기존에 별도 자금으로 운용되는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회계, 법인카드계좌를 하나의 모계좌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다. 총 26개 계좌로 관리하게 되는 자금 규모는 서울시 24조, 자치구 8조7천억원 가량이다.
서울시는 통합 운영을 통해 이자수입이 최소 44억원 가량 늘고 공금 횡령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에 앞서 지난해 2월 ‘자금 집중ㆍ통합관리제’를 도입해 3천474개의 자금계좌를 457개로 통합한 바 있다.
서울시는 아울러 세입ㆍ세출자금의 연도별 추계와 자금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자금예측시스템’을 도입하고 매달 지출되는 적정자금 외의 여유자금을 원금이 보장되는 금융상품 등에 보다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서강석 서울시 재무국장은 “슈퍼계좌로 자금을 통합해 관리함으로써 공공기관 자금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슈퍼계좌’는 기존에 별도 자금으로 운용되는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회계, 법인카드계좌를 하나의 모계좌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다. 총 26개 계좌로 관리하게 되는 자금 규모는 서울시 24조, 자치구 8조7천억원 가량이다.
서울시는 통합 운영을 통해 이자수입이 최소 44억원 가량 늘고 공금 횡령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에 앞서 지난해 2월 ‘자금 집중ㆍ통합관리제’를 도입해 3천474개의 자금계좌를 457개로 통합한 바 있다.
서울시는 아울러 세입ㆍ세출자금의 연도별 추계와 자금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자금예측시스템’을 도입하고 매달 지출되는 적정자금 외의 여유자금을 원금이 보장되는 금융상품 등에 보다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서강석 서울시 재무국장은 “슈퍼계좌로 자금을 통합해 관리함으로써 공공기관 자금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